earticle

논문검색

메트로폴리탄博物館 所藏 「紺紙銀字妙法蓮華經」 第2卷에 대한 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otus-Sutra vol.2 on Indigopaper with Silver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s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 「감지은자묘법련화경」 제2권에 대한 고찰

김종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MA hereinafter), New York City, U.S.A., there is a second volume of written on indigo papers with silver considered to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the 14th century A.D.). Even though it is only the second volume out of a set of seven volumes, it could be highly valued in terms of art history and bibliography because of its well preserved cover, byeonsangdo(transformation picture) and fine handwriting. Among the existing sutra copies of the Goryeo Dynasty, two are similar to the one at the MMA. One is the seventh volume of written on indigo paper with gold in the first year of King Chunghye's restored reign(A.D. 1340), and currently held in Nabesimahoucoukai(鍋島報效會), Japan. The other is the fragment of also held in Kagamijinja(鏡神社), Japan, and written in the first year of King Chungmok’s reign(A.D. 1345). These two sutra-copies have similarities in illustrations on the covers and transformation pictures, and the styles of handwriting. Therefore, by comparing these similarities, one can determine the approximate date when the sutra-copy at the MMA was made. Since the cover paintings and transformation pictures had gradually developed and changed year by year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se three sutra-copies demonstrated such development, the sutra-copy in the MMA could be regarded as having a more developed cover painting and transformation pictures than those of the sutra-copy in Nabesimahoucoukai. So it can be assumed that the sutra-copy in the MMA was probably produced right after the sutra-copy in Nabesimahoucoukai, when the changes in the cover paintings, transformation pictures, and style of handwriting of the sutra-copi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cover painting of the sutra-copy in Kagamijinja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sutra-copy in the MM, and its handwriting exhibits the ability of its transcriber and the trend in those days. In conclus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second volume of the copied on indigo paper with silver in the MMA could be produced around 1340∼1342(A.D.), the era of King Chunghye's reign. This sutra-copy could be the earliest example of a cover painting which has a title decorated with flowers, but not a celestial umbrella, and also be regarded to be made in the same period as the sutra-copy in Nabesimahoucoukai, which has been known as the only sutra-copy made in the era of King Chunghy's reign..

한국어

미국 뉴욕시 소재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는 고려시대 말(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는 「감지은자묘법연화경」 제2권이 소장되어 있다. 이 사경은 현재 MMA에서 유일하게 소장하고 있는 한국의 사경으로 「妙法蓮華經」 7권중 제2권만이 전하고 있다. 그러나 표지와 변상화 및 사경된 서체 등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지고 있어 미술사학적이나 서지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발견되어 전해지고 있는 고려시대 사경 중 MMA소장 「감지은자묘법연화경」 제2권 과 가장 흡사한 사경의 작례로는 충혜왕 복위 원년(1340)에 사성된 日本 鍋島報效會 소장의 「감지금자묘법연화경」 7권본과 충목왕 원년(1345)에 사성된 日本 鏡神社 소장 「묘법연화경」 燒經을 들 수 있다. 이 두 사경과는 표지화와 변상화에서 흡사한 양식과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서체 또한 일견하였을 때 서풍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년작인 이들 사경을 기준으로 하여 표지화, 변상화, 서체 등을 비교해 본다면 보다 근접한 제작시기를 고증할 수 있으리라 본다. 나베시마 7권본, MMA본, 鏡神社본의 「묘법연화경」의 표지화, 변상화, 서체의 변화 흐름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MMA본은 기년작인 나베시마본이 만들어진 직후 사성된 사경으로 볼 수 있다. 고려시대 후기 사경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사경의 표지화나 변상화의 경우 매년 조금씩 변화되고 발전해 가는 흐름이 있다는 것을 간과해 볼 때 MMA본은 나베시마 7권본에서 발전된 표지화와 변상화를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서체에 있어서도 그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은 나베시마 7권본이 완성된 1340년 직후 제작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345년작인 鏡神社 본은 이러한 MMA본의 영향을 받아 표지화가 제작되었으며 본문서체 또한 당시 사경원의 사경서 자의 유행과 실력이 그대로 표현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MMA소장 「감지은자묘법연 화경」 제2권의 사성연대는 충혜왕대인 1340년∼1342년 정도로 압축해 볼 수 있겠다. 또한 이 사경 은 제첨 위에 보개가 아닌 앙화로 표현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사경표지화를 가지고 있는 사경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충혜왕대 사경인 나베시마 7권본과 함께 동시기의 사경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감지은자묘법연화경」 제2권의 형태적 특징
 3. 표지화의 비교를 통한 편년 고증
 4. 변상화의 내용과 양식비교
 5. 서체의 특징과 비교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종민 Kim, Jong Min. 자연염색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