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남 녹우당 소장 「恩賜帖」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unsacheop Owned by Nokwoodang in Haenam

해남 녹우당 소장 「은사첩」 고찰

金奉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two books of the Eunsacheop(恩賜帖) owned by Haenam Yun's family Nokwoodang, not only Yuji(有旨) and Jeongyo(傳敎) issued by the king, but also a number of ‘Eunsamoon (Document of the Royal Grant, 恩賜文)’, the documents which accompanied the articles granted by the Royal Court to Yun Seon-do(尹善 道), are included. Eunsacheop means the book of Royal grants. Yun Seon-do had built a special relationship with Royal household by teaching both Bongrim(鳳林) Prince and Inpyeong(麟坪) Prince for five years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仁 祖). It is evidenced by those gifts and the documents granted by the Royal Court to Yun Seon-do.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unsamoons that Yun Seon-do received from the Royal household were compiled as the present Eunsacheop, and found that each sheet of Eunsamoon was kept by Yun Seon-do in the form of ‘Chuk(軸)’ and later compiled as ‘Cheop(帖)’ by Yun Jong(尹悰).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tandards of format and characteristics of Eunsamoon, which is a kind of old documents of the Joseon Period. The issuers of Eunsamoon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Daejeon (of King, 大殿), Naejeon (of Queen, 內殿), Daegoonbang (of princes, 大君房) and in the case of Daejeon, the authorities in charge were Naesusa(內需司), Sanggo(廂庫) and Nongpo(農圃). It was proved that drawing-up standards and ter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issuers and issuing authorities. The Royal household in the Joseon Dynasty had granted many gifts and the relevant records remained, but there are only few documents which show the procedure of Royal grants and the detailed list of articles. That is why the Eunsamoons preserved in Haenam Yun's family Nokwoodang should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studying the procedure of Royal grants.

한국어

海南尹氏 綠雨堂에 소장된 「恩賜帖」 두 책에는 尹善道(1587-1671)가 왕으로부터 받 은 有旨, 傳敎를 비롯하여 왕실에서 물품을 하사하면서 발급한 문서 즉 ‘恩賜文’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윤선도는 仁祖代 鳳林大君과 麟坪大君의 師傅를 5년 동안 겸임하면서 왕실과 각별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윤선도에게 여러 차례 내려진 恩賜 물품과 은사문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은사첩」이 엮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낱장의 은사문들 이 윤선도의 손을 거쳐 ‘軸’ 형태로 전해내려 오다가 尹悰(1705-1757)에 이르러 현재의 ‘帖’ 형태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시대 고문서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 은사문의 작성규식과 특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은사문의 발급주체는 大殿, 內殿, 大 君房으로 대별되고, 이 중 大殿의 경우 담당관청이 內需司, 廂庫, 農圃 등으로 나타나는 데, 발급주체와 발급관청에 따라 작성규식과 용어 등이 확연히 다르게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수차례의 은사가 행해졌고 이와 관련된 기록들은 많이 남아 있으나, 은사의 과정과 구체적인 물품을 볼 수 있는 문서는 흔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해남윤씨 녹우당에 전해 내려오는 여러 장의 은사문은 조선 왕실의 은사 시행 과정을 살펴 보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恩賜帖」의 구성과 성첩과정
  2.1 구성내용
  2.2 성첩과정
 3. 恩賜文의 규식과 내용
  3.1 恩賜文의 개념
  3.2 문서작성규식과 용어
  3.3 윤선도에 대한 恩賜 배경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奉佐 김봉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