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治平要覽」考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ipyeongyoram

「치평요람」고

김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ipyungyoram published in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Period. The procedure of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and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its description a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With the firm intention of publishing the Chipyungyoram, King Sejong ordered Jeong Inji, who was the Jijungchuwonsa, to compile the book in 1441. The Chipyungyoram composed of 150 volumes was completed 5 years later in 1446. The Chipyungyoram mainly contains the cases which could be set an example to kings, and teach the common people the lesson to encourage their good conduct, selected from Chinese and Korean history 2. The reason why King Sejong wanted to compile this vast volumes of the Chipyungyoram was to learn how to govern the country well through history and pass the lesson to the descendants. 3. The Chipyungyoram was not published shortly after compilation, but proofread by Yi Keuggi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and finally printed in the reign of King Sejo. 4. The purpose of compiling the Chipyungyoram was to encourage Confucian values. Therefore, the Chipyungyoram did not have any limit on what to include, and tried to keep the objectivity in writing. 5. The Chipyungyoram quoted 117 books, especially history books written in the times of the Song Dynasty and moral books based on Sung Confucianism. It evidences that King Sejong had regarded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ism as the principle of his government.

한국어

본고는 조선 세종대에 편찬된 「治平要覽」을 서지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治平要覽」의 편찬 및 간행 과정과 체재 및 구성, 기술 방식, 기술상의 특징 등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治平要覽」은 1441년(世宗 23, 辛酉) 6월에 세종이 확실한 편찬 의지를 가지고 당시 知中樞院事였던 鄭麟趾에게 편찬을 명하여 5년 뒤인 1445년에 완성한 150권의 巨帙 이다. 「治平要覽」은 중국과 한국의 역사 중에서 군주에게 鑑戒가 되는 내용이나 백 성들에게 권선징악의 유교적 교훈을 가르칠 수 있는 내용들을 선별하여 수록해 놓은 저술이다. 2. 세종이 이 방대한 저술의 편찬을 시도한 것은 크게 역사를 통하여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있는 방법을 알고, 그것을 후대의 통치자들에게 전해 주고 싶은 의도의 실현이었다. 3. 「治平要覽」은 편찬 직후에 간행되지 않고 세조 때 李克堪에게 추가교정을 하였으며 인쇄된 것은 그 후인 中宗代이다. 4. 「治平要覽」은 유교적 가치를 천명하기 위한 목적을 시작으로 편찬되었다. 수록 대상 에 한계를 두지 않았으며, 최대한으로 서술의 객관성을 얻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5. 「治平要覽」은 117종에 달하는 서적을 인용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宋代의 史書와 性理書들이 주로 인용된 것이 주목된다. 이는 유교국가를 지향하고 성리학을 치국의 이념으로 삼았던 세종대의 실상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緖論
 2. 編纂背景
  2.1 世宗朝의 圖書編纂
  2.2 世宗의 編纂意圖
  2.3 編纂 및 刊行過程
 3. 「治平要覽」의 體裁
  3.1 凡例 分析
  3.2 記述 方式
  3.3 中國 歷史記述
  3.4 韓國 歷史記述
  3.5 內容上의 特徵
 4. 引用書目 分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순희 Kim, Soon-h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