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s of Jaejo Taejanggyong(再雕藏) and Taejangmokrok(大藏目錄). First, the bibliographies of buddhist scriptures in the Tang and Song Dynasty were examined, and the publication of Bojanggyong and its import to the Goryeo were investigated. Jaejo Taejanggyong and Taejangmokrok are presumed to consist of the Entry Buddhist scriptures of Hyeonjong (顯宗), Munjong(文宗), the post-Euicheon(義天) era and Jaejo Taejanggyong.
한국어
본고는 再雕藏과 大藏目錄의 構成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唐․ 宋代의 經錄을 고찰하고, 開寶藏의 刊行과 高麗에서의 受容을 파악하였으며, 再雕藏과 大藏目錄을 分析하였다. 그 결과 再雕藏과 大藏目錄은 顯宗朝 入藏 經典, 文宗朝 入藏 經典, 義天以後 入藏 經典, 再雕藏 入藏 經典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緖言
2. 唐․宋代의 經錄
3. 開寶藏의 刊行과 高麗에서의 受容
4. 再雕藏과 大藏目錄의 分析
5. 結言
참고문헌
ABSTRACT
1. 緖言
2. 唐․宋代의 經錄
3. 開寶藏의 刊行과 高麗에서의 受容
4. 再雕藏과 大藏目錄의 分析
5. 結言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