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using XRF analysis, measured are the relative gravity and the composition ratios of elements of four different metal types, that is, Imjinja(壬辰 字), Jeongrija(整理字), Hanguja(韓構字), and iron types, all of which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old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classifying metal types by the composition of elements, and comparing their distribution patterns, it was found that the identical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same types, but sometimes the opposite patterns were caused by such factors as the influx of heavy metal scraps or foams during manufacture process. 2) Thirty sample characters of Imjinja, the copper type, were divided into two kinds by Zn content. Thirty sample characters of Jeongrija were divided into three kind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Zn, Ni. Except for only two characters, sample characters of Hanguja also showed the same result in all. 3) An analysis of iron types showed that they contained a high percentage of As, and considered that the deviation of relative gravity value varies by types, it can be presumed that the materials were not refined, and they were not produced by highly skilled technology.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important reference data for the detailed classification and the restoration of metal types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한국어
國立中央博物館에서 소장하고 있는 중요 金屬活字인 壬辰字, 整理字, 韓構字, 鐵活字 각 30개에 대해 비중측정 및 XRF분석을 실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금속활 자의 성분조성에 의한 분류와 비중값의 분포패턴을 비교해 본 결과 같은 활자끼리는 대부 분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제작과정 중 중금속의 편석이나 기포의 유입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반대의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2) 동활자인 임진자는 Zn함량의 다소에 따라 두 가지 종류로 구분이 되었으며, 정리자는 Zn, Ni의 유무에 따라 세 가지 종류로 구분이 되었고, 한구자는 2개의 활자를 제외하면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철활자의 분석결과 As의 함유량이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다. 또 활자마다 비중값의 편차가 큰 것으로 보아 재료가 정련되지 않았고, 숙련된 기술에 의하여 제작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속활자의 세부적인 분류와 금속활자 복원 등에 중요한 참고자료 가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분석대상 활자
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5. 동활자의 비중값과 성분조성에 관한 고찰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