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陶土鑄造法의 實驗鑄造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Method of Casting Metal Movable Types from Porcelain Clay

도토주조법의 실험주조에 관한 연구

金聖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reviews , the book about the method of casting movable types from porcelain clay, and tests the possibility of reproducing Heungdoksa-ja (興德寺字; metal movable types of ) with this method, by following the procedures and practices as described in this book.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rom , the items about the casting of movable types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method and process of actually casting movable types from porcelain clay. Second, seven steps of this method were defined, and the procedure and meanings of each step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some major technical know-hows and requirements needed to follow in producing metal movable types were deliberately omitted in this book. Third, from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porcelain clay plates should be resistant to cracks, fire, and crumbles, be strong, and ventilate well enough to form the mold. To meet these requirements, the proportion of ocher powder, powder of mudstone, and fine sands should be 3: 5: 2, respectively.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o be able to cast metal movable types, both the molds of an internal frame and an external frame with the same material should be prepared. Also, found is that without sufficient pressures from the melt metals (caused by their weight and volumes) left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it was not possible to cast the perfect form of metal movable types. Fifth, to cast metal movable types, a hexahedral mold for the shape of each character should be formed before pouring melt metals into the mold,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kajisoe' and passage and should also be prepared at this stage. It was confirmed that by following these steps, Heungdoksa-ja (metal movable types of ) could be reproduced with the method of casting metal movable types from porcelain clay.

한국어

이 논문은 陶土鑄造法에 관한 문헌(「厚生錄」)연구 및 그 주조의 방법과 실험을 통하여, 도토주조법의 실제를 論究하고, 興德寺字(「직지」활자)의 재현 가능성을 타진한 연구이다. 이 실험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생록」 주자조의 내용을 분석하여 도토주조법을 정의하였다. 둘째, 도토주조법의 작업과정을 7단계의 공정으로 나누고, 각 공정의 내용과 의미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여러 문제들은, 각수나 주물장의 금속활자 주조과정의 실제적인 기술적 노-하우(know-how) 및 요건들이 위 문헌의 기록에서 생략되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도토판의 제작의 선행조건으로서 도토판 자체의 무균열성․成型性․耐火性․强 度․通氣性․붕괴성 등이 우수하여야 함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선행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재료의 배합은 ‘황토분말 : 이암분말 : 고운 모래의 비율이 3 : 5 : 2 ’ 임을 규명하였다. 넷째, 금속활자를 주조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재료의 上型(수틀)과 下型(암틀)의 주형 (鑄型)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비로소 활자의 주조가 가능함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 주형의 上部에 잔류하는 쇳물(무게․부피)에 의한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야만 비로소 완전한 금속활자의 주성이 가능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섯째, 금속활자의 주조는, 주형틀에 용해된 쇳물을 주입할 당시에 육면체 활자 모양 의 주형이 개개 활자별로 이미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 이 때 여기에 각각 가지쇠와 탕도 등의 마련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도토주조법에 의한 興德寺 字(「직지」활자)의 復原은 충분하게 가능함을 확신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도토주조법의 내용 및 정의
 3. 도토주조법의 실험 과정 및 방법
 4. 결론 및 차후의 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聖洙 김성수.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문화정보학부 문헌정보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