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veral basic wooden movable types carved i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description begins with summarizing each basic history of movable types. Subsequently the existing movable types are examined as many as possible and arranged one by one. And through analyzing the elements used in these movable type names, it is examined which elements were preferred by the existing movable type names. This preference could be helpful for naming the newly found types or renaming the existing types. Finally, each standard name of movable types has been selected in total 11 movable types with applying writer’s own selection standard. Those are as follows: ‘Geumneungjipja(金陵集字)’, ‘Jeungju samjagyeongja(增註三字經字)’, ‘Gwangju pilseoche mokwalja(光州筆書體木活字)’, ‘Gwangju daechisa pilseoche mokwalja(光 州大峙祠筆書體木活字)’, ‘Bogwangsa inseocheja(寶光社印書體字)’, ‘Hyojong eobi daeja(孝宗御批大字)’, ‘Chiljeongnyeok mokwalja(七政曆木活字)’, ‘Hakbu inseoche mokwalja(學部印書體木活字)’, ‘Yaso samjagyeong dang daeja(耶蘇三字經唐大字)’, ‘Yaso samjagyeong han daeja(耶蘇三字經韓大字)’, ‘Yaso samjagyeong yang daeja (耶蘇三字經洋大字)’.
한국어
이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에 조성된 목활자들 중 일부 활자의 기본활자만을 대상으 로 하였다. 기술은 먼저 대상 활자들에 대하여 각각의 간단한 내력을 살펴보는 것으 로 시작하였다. 이어서 각 문헌을 통하여 기존의 활자명들을 가능한 한 많이 조사하 여 각 활자별로 나열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활자명에 이용된 요소들을 분석하여 기존의 활자명들이 어떤 요소 들을 선호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선호도는 새로 발견된 활자에 대하여 命名하 거나 기존의 활자에 대해 改名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필자 나름의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총 11종의 활자들에 대하여 ‘金陵集 字’, ‘增註三字經字’, ‘光州筆書體木活字’, ‘光州大峙祠筆書體木活字’, ‘寶光社印書體字’, ‘孝宗御批大字’, ‘七政曆木活字’, ‘學部印書體木活字’, ‘耶蘇三字經唐大字’, ‘耶蘇三字經韓 大字’, ‘耶蘇三字經洋大字’를 각각 표준 활자명으로 선정하였다.
목차
ABSTRACTS
1. 서론
2. 활자별 연구 결과와 기존 활자명
3. 기존 활자명 분석
4. 표준 활자명의 선정
5.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