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술대회 발표논문>

『直指』와 佛敎文化

원문정보

Jikji and Buddhist Culture

『직지』와 불교문화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Jikji (the shortest title of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himche Yojeol) and Buddhist culture. In particular, my aim i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ur aspects: 1) the change in the late Koryo Buddhism; 2)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Iimchison(臨濟禪); 3) Baegunkyonghan and Jikji; 4) the significance of Jikji in the cultural history of Buddhism. The important change in the latter Koryo’s Buddhism was the decline of the Kyo-jong(敎 宗) and the emergence of the Son-jong(禪宗). The assembly movements for Buddhist reformation, such as Suson-sa(修禪社) Assembly guided by Jinul(知訥, 1158-1210) and Baekryon-sa(白蓮社) Assembly guided by Yose(了世, 1163-1245), were organized and the new traditions of the Son-jong were founded. In the last years of the Koryo Dynasty, Imchison was introduced from China. Taegobou(太古普愚, 1301-1382) and Naonghyegeun(懶 翁惠勤, 1320-1376) encouraged the Ganhwason(看話禪), on the other side, Baegunkyonghan (白雲景閑, 1298-1374) enhanced the Musimson(無心禪). Though the three grestest masters had the different idea of Son(禪觀), they played the infuential role at the close of Koryo’s Buddhism. Jikji consists of two volumes containing selections from various Buddhist works of history and biography such as Chingte Chuanteng-lu(景德傳燈錄) by Tso Yuan(道原) of Sung China and referred one volume which was received from the old priest Shiwu(石屋) The significance of Jikji in the cultural history of Buddhism is to be approved as a transmission book(傳法書), the essence of the real condition and the mind-confirmation(心因) of Buddhism transmitted to next generatop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fundamental resources in the fields of bibliographical science, Korean studies, Buddhist sciences and others.

한국어

본 논문은 『직지』와 불교문화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고려후기 불교계의 변화, 임제선의 수용과 전개, 백운경한과 직지, 직지의 불교문화사에서의 의미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고려후기 불교계의 중 요한 변화는 교종이 쇠퇴하고 선종이 대두되었다. 지눌 중심의 수선사 결사운동과 요세 중심의 백 련사 결사운동이 이루어져 선종을 중심으로 한 불교계 혁신이 시도되었다. 고려말기에는 임제선이 수용되어 태고보우와 나옹혜근은 간화선을 진작시켰고, 백운경한은 무심선을 선양하였다. 이들의 선관은 비록 달랐지만 고려말기 불교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백운은 석옥청공의 『직지』1권을 참고하고 『경덕전등록』등의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선요 요체를 깨닫는데 필요한 것을 발췌․증보 하여 『직지』2권으로 편집하였다. 『직지』가 갖는 불교문화사에서의 의미는 무심선의 전법서이며 후 대를 위해 남겨진 진경의 정수이자 정법안장의 심인임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직지』와 불교문화의 의미를 밝히는 새로운 시발점으로서 서지학계, 불교학계 및 한국학계에 기본적인 연구로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언
 2. 고려후기 불교계의 변화
 3. 임제선의 수용과 전개
  3.1 太古普愚의 看話禪
  3.2 懶翁惠勤의 看話禪
  3.3 白雲景閑의 無心禪
 4. 白雲景閑과 直指
 5. 『직지』와 불교문화사에서의 의미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Ae.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