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3世紀 前期 刊行佛書의 分析

원문정보

Analysis of Buddhistic Scriptures in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13세기 전기 간행불서의 분석

金聖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ibliographically Buddhistic scriptures published in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one of the most turbulent times in Korean history. An attempt is made to examine what kind of relationship was there between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the publication of Buddhistic scriptures, whether these scriptures had any spiritual influences on the Buddhism and the public, and what was the implication of publishing individual Buddhistic scriptur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Nammyongsongjungdo-ga(南明頌證道歌)」 considered to complete twelve Buddhistic scriptures published by the Chogye Buddhistic Order and Susonsa, was published in 1239 by the offerings of Choi Yi who wanted to improve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usonsa and the military regime. 2) 「Bophwagyong Kyehwanhae(法華經 戒環解)」, the theoretical basis of Baengnyon Kyolsa as well as the completion of three Buddhistic scriptures published by the Chontae Buddhistic Order and Baengnyonsa, was also published in 1240 by the offerings of Choi Yi for the same purpose of improving the relationship with Baengnyonsa. 3) 「Koryo Chaejo Taejanggyong(高麗再雕大藏經)」 published in 1251, was also completed by the financial support from Choi's military regime. In conclusion, the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the carving of can be considered to play a role as a centripetal force which promoted the public who wanted to defend the country by relying on Buddhism.

한국어

이 논문은 한국의 역사 중 가장 격동의 세기였던 13세기 전기(前期)에 간행된 불서들에 대하여 서지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13세기 전기의 시대상황과 불서의 간행이 어떠한 상관관계 를 지니며, 또한 이들 간행불서가 그 시대 불교계와 민중들에게 각각 어떠한 정신적 영향을 끼쳤는 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개불서 간행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를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1) 13세기 전기 조계종(曹溪宗) 및 수선사(修禪社)에서 간행된 12종의 불서에 대한 결산(決算)이 라 할 수 있는 「남명송증도가(南明頌證道歌)」는 1239년에 최이(崔怡)의 발원에 의하여, 수선사와 무신정권과의 더욱 원활한 관계개선을 위한 목적에서, 鑄字版을 목판으로 거듭 새겨(重彫) 간행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13세기 전기에 천태종 및 백련사에서 간행된 3종의 불서에 대한 총결이면 서 백련결사의 이론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법화경 계환해」 또한 1240년에 최이의 발원에 의하여, 백련사와 무신정권과의 관계개선이라는 특정한 목적을 지니고 간행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3) 1251년에 완성된 고려재조대장경 또한 최씨 무신정권의 재정적 지원에 의하여 완료되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불서들의 간행 및 고려재조대장경의 조조는, 오로지 불법을 신봉하는 맑고 바른 마음에서 국가를 수호하고자 하는 일반백성들의 민족적 동질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보다 적 극적인 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한 방법론, 즉 대몽항쟁을 위한 민족적 구심점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 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13세기 前期의 시대상황 및 불교계의 동향
 3. 13세기 前期 불서간행의 현황
 4. 修禪社 및 曹溪宗 관련 佛典의 분석
 5. 白蓮社 및 天台宗 관련 불전의 분석
 6. 高麗再雕大藏經 雕造의 의미
 7. 결론
 參考文獻

저자정보

  • 金聖洙 김성수. 淸州大學校 人文大學 人文學部 文獻情報學專攻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