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공위성을 통한 준설 공사 관련 부유물질 확산 관측 국내·외 사례

원문정보

Remote Sensing Imagery for Monitoring Sediment Resuspension during Dredging Operations in Public Waters – A Review

양동범, 홍기훈, 박영제, 김홍관, 이현미, 정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diment resuspension during dredging operation for maintenanc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 or excavation of marine aggregate from the bottom sediment and subsequent movement of the resuspended sediment plume to the outside of the project area in river and sea are of great interest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environment. In order to monitor development and spreading of sediment plume, a potentially affected area should be observed simultaneously as often as possible. For this purpose, the remote sensing imagery has been successfully used in many countries as satellite sensors meet the above mentioned requirements. The most widely used remote sensing imagery is from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band 1 (620-670nm) reflectance data with spatial resolution of 250nm. When monitoring dredging plumes, images from Landsat satellites having a repeat capture of every 16 days are used to assist the interpretation of MODIS images. A few Korean examples are shown here for future reference for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uses from marine aggregate mining area.

한국어

항만, 호소, 하천의 준설 공사, 수저 골재 채취 공사, 준설물질이나 골재의 운송, 보관, 혹은 해양 투기 과정 등에서 준설물질이나 퇴적물이 수중으로 유출되어 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 수 환경에 유출된 부유물질을 관측하는 여러 기술들 중 위성자료를 활용한 관측기술의 국외 활용현황을 살펴보았다. 좁은 해역에서 발생하고 확산되는 준설토사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높은 해상도를 가진 위성센서가 주로 사용되며 시간적 변화를 감시하기 위해 재방문주기가 짧은 위성 센서의 자료가 유용하다. 따라서 NASA의 Terra와 Aqua 위성에 각각 설치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영상이 주로 사용되었다. MODIS는 250m*250m 해상도를 가지며 같은 지역을 매일 촬영하는 장점이 있다. Landsat 위성자료는 해상도가 높지만 (30m*30m) 재방문 주기가 16일로 부유물질 플룸의 시간에 따른 변이를 관측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물론 보조적인 자료로는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하루에 최대 8회 관측하는 GOCI 위성을 많이 활용하게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III. 원격탐사를 활용한 준설토사 모니터링
 IV. 각 국의 사례
  1. 한국의 해사 채취 해역
  2. 호주 Mermaid Sound, Barrow Island, Hay Point
  3. 홍콩 Penny's Bay
  4. 에스토니아
  5. 중국 Poyang lake
 V. 앞으로의 전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동범 Dong Beom Yang.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특정해역보전관리연구센터
  • 홍기훈 Gi Hoon Hong.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특정해역보전관리연구센터
  • 박영제 Youngje Park. 한국해양위성센터
  • 김홍관 Hong Kwan Kim. 한양대학교 산업공학과
  • 이현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특정해역보전관리연구센터
  • 정창수 Chang Soo Chung.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특정해역보전관리연구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