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symptoms in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s well as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dimension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to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106 residents in domestic violence-related shelters or visitors to domestic violence-related counseling cent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coping strategies,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questions about their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relevant predictors. Avoidance cop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bove and beyond some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but when additionally controlling f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its unique effect was not significant. Active behavioral coping which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xiety symptom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nxiety symptoms above and beyond some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Next, of the dimension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on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uniquely contributed to post-traumatic stress and anxiety symptoms, and on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uniquely contribu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role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female assault victims'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symptoms or disorders more effectively.

한국어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과 우울증상에 대한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대처전략들의 효과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여러 차원들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쉼터에 거주하거나 상담기관을 방문한 가정폭력 피해여성 10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외상관련 특징, 외상 후 부정적 인지, 대처전략,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과 우울증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른 모든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 및 우울증상 각각에 대하여 고유하게 기여하였다. 회피 대처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및 외상관련 특징들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우울증상에 각각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영향을 추가로 통제한 후에는 고유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적극적 행동 대처의 경우, 불안증상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인구통계학적 및 외상관련 특징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는 불안증상에 대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동시적 회귀분석 결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여러 차원들 중 외상반응관련 부정적 자기 차원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불안증상에 각각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며, 미래/가치관련 부정적 자기 차원만이 우울증상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이 결과들은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들을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하는데 있어 그들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역할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측정도구
  자료수집 절차
  자료 분석 방법
 결과
  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및 외상관련 특징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각 심리적 증상에 대한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대처전략의 고유효과
  각 심리적 증상들에 대한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여러 차원들의 상대적 기여도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한림응용심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