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 양극성 성향 집단에서 기분 기복의 인지적 기제로서 이분법 사고의 작용

원문정보

The Role of Dichotomous Thinking as Cognitive Mechanisms of Mood Fluctu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Bipolar Symptoms

황성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dichotomous thinking (DT) as the cognitive mechanism of mood fluctuation that is a core symptom of Bipolar Disorder (BD). We tried to explore whether DT that divides things and objects into two mutually exclusive categories may amplify the mood fluctuation in BD. To access the mood variability occurring in daily life, mood diary was adopted. From the population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63 subjects were screened through Mood Disorder Questionnaire (MDQ) and Dichotomous thinking Index-30 Revised (DTI-30R). They were assigned to four conditions according to the factorial design of pathology group (bipolar/control) by mechanism (high/low DT). Subjects kept the mood diary for 14 days. As results, the prediction that bipolar students with high DT may show wider variability of mood than controls was confirmed. However, detailed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mood valence. The effect of DT to amplify the mood fluctuation in BD was confined to negative mood, and was not supported in positive mood. The ups and downs of negative mood was more intense in bipolar group with high DT. That is, it is not the bipolar tendency per se, but the effect of DT in the context of bipolar tendency that produces variability of negative affect. On the other hand, the fluctuation of positive mood across 14 days was stronger in bipolar group than control group regardless of DT. Finally,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present research with the directions for future ones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양극성 장애의 핵심 증상인 극단적 기분 왕복의 인지적 기제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물이나 대상을 두 개의 배타적인 범주로 나누는 이분법 사고가 실생활에서 양극성 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기분 동요를 증폭하는 작용을 하는지 조사했다. 사이버대학생의 전집에서 양극성 장애의 선별 도구인 기분 장애 척도(MDQ)와 이분법 사고에 대한 자기 보고 척도인 이분법 사고 지표(DTI-30R)를 실시해서 63명의 피험자를 선별하여, 양극성 성향(양극/통제)과 이분법 사고(고/저)의 요인 설계에 따라 네 가지 조건에 무선 할당하였다.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기분 기복에 접근하기 위해 매일 자신의 감정을 기록하는 ‘기분 일기’를 사용해서 14일에 걸친 긍정 및 부정 정서의 추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양극성 집단이 높은 이분법 사고를 보일 때(즉, 고이분법-양극), 부정적 정서의 14일에 걸친 변동폭이 다른 세 조건(즉, 저이분법-양극, 고이분법-통제, 저이분법-통제)에 비해 더 고조되었나 긍정적 정서의 기복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양극성 병리에서 이분법 사고의 기분 기복 증폭 작용은 부정 정서에 국한되어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 정서의 변화 폭은 이분법 사고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양극 성향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더 컸다. 따라서 양극 성향에서 나타나는 기분 왕복의 인지적 기제가 이분법 사고일 수 있다는 것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한계점과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절차
  선별 측정치 및 인구학적 변인에 대한 분석
  긍정 정서의 강도와 기복
  부정 정서의 강도와 기복
 논의
  부정 정서에 국한된 이분법 사고의 정서 기복증폭 작용
  양극성 집단의 기분의 강도와 기복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성훈 Seong-Hoon Hwang.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