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체육수업에서 아동의 유능성 믿음과 지각, 운동가치 인식이 성취동기와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 Competence Beliefs, Perception of Sport Ability, and Sport Value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김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competence beliefs, perception of sport ability, and sport value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368 elementary school children(boys: 182, girls: 186).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ability belief's scale for Koreans designed by Park and Kim(2010), the sport value scale which made by Park, Kim, and Lee(2010) the goal-orientation scale for Koreans by Kim(2013), and the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participation.. For analyzing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optimalestimation and overestimation students showed higher implicit beliefs, inner interes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participation than that of underestimation students. The second, implicit beliefs, perception of sport ability, sport value influenced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approach achievement goals of students. Third, increase belief, perception of sport ability, inner interesting,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mastery-approach achievement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achievement goals influenced the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particip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아동의 유능성 믿음과 지각, 운동가치 인식이 성취동기와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3년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이상 368명(남: 182, 여: 186)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한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유능성 지각에서 자신의 운동능력을 적정하게 평가한 이동과 과대평가한 아동이 과소평가한 아동에 비해 고정믿음, 내적흥미, 성취동기와 체육수업 참여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체육수업에서 아동들에게 유능성 지각을 높게 하는 것이 체육수업 참여의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둘째, 유능성 믿음과 지각, 운동가치인식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능성 믿음은 성취동기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능성 지각은 숙달-접근 목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가치 중 중요성은 숙달접근과 수행접근목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능성 믿음과 지각, 운동가치 인식과 성취동기기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증가믿음, 유능성 지각, 내적 흥미, 중요성,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이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III. 결과 및 해석
  1. 아동의 성별에 따른 운동능력 지각 경향
  2. 유능성 지각에 따른 유능성 믿음, 가치인식, 성취동기와 운동지속의도
  3. 유능성 믿음과 지각, 성취동기와 체육수업참여의도 간 관계
  4. 유능성 믿음과 지각, 가치인식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4. 유능성 믿음과 지각, 가치인식과 성취동기가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IV. 논의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수 Kim, In-Soo. 광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