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eaching model to minimize an alienation and to improve an effectiveness and participation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IP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To accomplish this purpose, case study based on mixed methodology was us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C elementary school in Seoul metropolitan area. Video observation(physical activity level and social interaction), pre-pro test about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attitude toward IPE were performed. t-test and ANOVA were used where appropriate. Additionally,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 was used.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PE based on teaching model increased physical activity level, social interaction, and physical self-descript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ID. It was found that an attitude toward IPE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ID and teacher was positively changed and an alienation of students with ID was decreased through IPE based on teaching model. In summary, it revealed that teaching model for IPE not only decreased an alienation for students with ID but also do not influence task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out ID in IPE.
한국어
본 연구는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하여 과제 참여 및 수업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1년차 연구에 이은 2년차 연구로, 개발된 수업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C초등학교에 한 학기 동안 수업모형으로 적용하여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이 적용된 사례연구(case study)를 통해 수업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비디오 자료는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신체적 자기개념과 통합체육에 대한 태도는 대응표본 t-검증과 AN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초등학교 사례를 통하여 통합체육수업모형에 의한 체육수업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의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통합체육수업모형에 의한 체육수업에 참여한 후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담당 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장애학생의 수업소외가 감소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통합체육수업모형은 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 하면서 통합체육의 긍정적인 기능을 경험하게 하였으며, 일반학생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수업모형의 적용
3. 측정 변인 및 연구 도구
6. 자료 수집 및 분석
7. 연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Ⅲ. 연구 결과
1. 신체활동수준
2. 사회적 상호작용
3. 신체적 자기개념
4. 통합체육에 대한 태도
5. 체육수업 소외 척도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