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프로쿠바니스모(afrocubanismo)의 의미와 한계 : 룸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Afrocubanismo: Rumba in the 1920s-1940s

이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rocubanismo was a dominant cultural trend as well as artistic movement of Cuba during the 1920s~1940s. It also occupied a central place in nationalist discourse. Rumba, more so than any other Afro-Cuban popular music genre, was reinterpreted as a national music practice as well as an artistic embodiment of cubanness. This study mainly analyzes the scholarly contribution to cuban ethnomusicology and the contradicting ways in which Alejo Carpetier and Fernando Ortiz understood afrocubanismo, by delving into their ambivalent perspectives on rumba. The first chapter examines how rumba, as a core signifier of afrocubanismo, pervaded all genres of art in this period,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commercial adapt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rumba in order to highlight the ambivalence that the elite and middle class experienced toward cultural expressions that bore African influences.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Carpentier’s La Música en Cuba, his contribution to Cuban contemporary musicology and also his biased perspective on rumba. The fourth chapter examines Ortiz’s criticism of afrocubanista poets, especially their appropriation of rumba as thematic material and linguistic experiment based on what was conceived as the mulato spirit. Carpentier and Ortiz reveal their contradictory attitudes toward a racially and culturally based cubanness and a deeply rooted belief in the inherent superiority of whites over afrocuban heritage. The study argues that Carpentier and Ortiz failed to overcome their contradicting disposition toward afrocubanismo. Nevertheless, they were successful in laying out the foundational theories on cubanness, while producing pioneering work in national musicology and personifying its textual embodiment.

한국어

아프로쿠바니스모는 20세기 초, 특히 1920년대부터 40년대 사이 쿠바의 예술계와 대중문화계 전반을 휩쓴 문화 현상이자 운동이며, 쿠바성(cubanness)을 이루는 시대적 담론이었다. 아프로쿠바니스모가 가장 활발한 영향력을 드러낸 영역은 아프로쿠바 음악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룸바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룸바는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서 아프리카성, 혹은 쿠바성과 연관된 예술적 기호로 사용되었다. 1장에서는 예술 전반에서 중요한 소재로 차용된 룸바 음악의 확산, 변형, 소재의 점유 방식을 살펴보고 아프로쿠바니스모의 의미와 한계를 논의한다. 2장에서는 룸바에 대한 국내외적 수용과 해석을 다룸으로써 엘리트 계급과 대중계층 사이의 모순적 경향을 확인해 본다. 3장에서는 알레호 까르뻰띠에르(Alejo Carpentier)가 저술한 음악사인」『쿠바의 음악 La Música en Cuba』을 중심으로 30, 40년대 쿠바에서 룸바의 형태와 리듬을 도입한 고전음악을 살펴보고, 까르뻰띠에르의 해석을 통해 아프로쿠바 음악에 대한 그의 편파적 시각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아프로쿠바니스모의 철학적·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페르난도 오르띠스(Fernando Ortiz)의 시평, 특히 룸바를 소재로 삼은 아프로쿠바니스타 시들에 대한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지닌 인종과 문화에 대한 모순적 인식을 점검한다. 까르뻰띠에르와 오르띠스는 쿠바의 민족음악학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쿠바성을 주창하고 예술적 실천을 모색한 지식인이었지만 아프로쿠바니스모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이는 당시 쿠바성 담론 자체가 지닌 한계와 모순에 대한 근거로 삼을 수 있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본론
  1. 아프로쿠바니스모와 룸바 양식
  2. 룸바 음악의 정의와 ‘모조품’ 룸바
  3. 까르뻰띠에르의 『쿠바의 음악』
  4. 오르띠스와 아프로쿠바니스타 시인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아 Euna Lee.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