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공포의 시뮬라크르를 넘어 경계의 윤리학으로 : 『2666』에 나타난 세계화 시대의 상징으로서 미국- 멕시코 국경

원문정보

Imagining New Ethics beyond The Simulacrum of Fear : U.S.-Mexico Border as The Symbol of Globalization in 2666

박정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oberto Bolaños’ posthumous novel 2666 depicts the unsolved serial murders of young women in Ciudad Juárez (called Santa Teresa in the novel) from the global perspective. By creating the Möbius strip structure wherei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novel are combined and converge in the U.S.- Mexico border, 2666 demonstrates that this femicide is not an accidental tragedy, instead it symbolizes the crisis of neoliberal global economy which became a dominant system all around the world since the 1990’s. This essay focuses on a narrative strategy wherein Bolaño employs the technique of ‘repetition’ in describing the murder scenes and illustrating ineptitudes of the intellectuals who are unable to provide any solution to this tragedy. This strategy underscores the fear and meaninglessness which emerge as main images of the novel. 2666 emphasizes that Santa Teresa’s femicide goes beyond the issue of crime and corruption. The silence built upon the voluntary consent of citizens who fear the violence and terror constitutes the real crisis of U.S.-Mexican border, a crisis that ends up being a monster,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evil’ continuously engendered by the modern world. While configuring this dystopian, apocalyptic vision throughout the novel, Bolaño, at the same time, does not abandon his utopian desire and suggests new ethics that can confront the ‘evil’ without fearing and escaping from it.

한국어

로베르또 볼라뇨의 유작『2666』은 민족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초국가적 시각을 바 탕으로, 시우다드 후아레스(Ciudad Juárez)에서 -소설에는 산따 떼레사(Santa Teresa)라 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일어난 여성 연쇄살인사건을 소설화한다. 시작과 끝이 미국-멕시코 국경도시에서 만나는‘뫼비우스의 띠’구조를 통해서 소설은 이 사건이 우발적으로 일어난 비극이 아니라, 1990년대 이래 신자유주의 경제체제가 초래한 구조적 결과로서 지구촌 각지 에서 나타나는 세계화의 위기를 상징하는 예임을 암시한다. 본 논문은 이 소설이 살인의 현 장을 재현하고 이 비극적 상황에 어떠한 해결책도 보여주지 못하는 무능한 지식인을 묘사함 에 있어‘반복’의 기법을 사용한 것에 주목한다. 볼라뇨는‘반복’의 서사전략을 통해 공포와 무의미를 소설의 주된 이미지로 만들면서 산따 떼레사의 연쇄살인사건이 단순한 범죄와 부 패를 넘어서는 문제라고 주장한다. 폭력과 공포로 인해 두려움에 사로잡힌 시민들의 자발적 인 동의로 형성된 침묵이야 말로 미국과 멕시코 사이에 놓인 국경지대의 진정한 위기를 의 미한다는 것이다. 이 위기는 근대세계가 재생산하는‘악’의 또 다른 형태로서, 결국 도시는 괴물과도 같은 유기체가 되어간다. 이렇게 볼라뇨는 소설 전체에 묵시론적, 디스토피아적 세 계인식을 형상화하는 한편, 동시에 유토피아적 열망을 포기하지 않으며‘악’으로부터 도피하 지 않고 이에 맞서는 세계화 시대의 새로운 윤리학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초록
 I. 세계화의 교차점인 멕시코 국경도시, 산따 떼레사(Santa Teresa)
 II. 대위와 반복: 연쇄살인 사건의 재현을 위한 서사전략
 III. 세계화의 위기와 근대의 파국
 IV. 야만에 대응하는 경계의 지식과 윤리학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정원 Jungwon Park.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