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LID 시설로서 도로에 적용 가능한 수목여과시설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tree box filter LID system for treating road runoff

최지연, 손영규, 이소영, 이유화, 김이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ree box filter system, an example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for treating stormwater runoff from road. Monitoring of storm events was performed between June 2011 and November 2012 to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 during wet day. Based on the results, all runoff volume generated by rainfall less than 2 mm was stored in the system. The minimum volume reduction of 20% was observed in the system for rainfall greater than 20 mm. The greatest removal efficiency was exhibited by the system for total heavy metals ranging from 70 to 73% while satisfactory removal efficiency was exhibited by the system for particulate matters,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ranging from 60 to 68%. The system showed greater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67 to 83% for rainfall less than 10 mm compared to rainfall greater than 10 mm which has 39 to 75%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The system exhibited less pollutant reduction for rainfall greater than 10 mm due to the decreased retention capacity of the system for increased rainfall. Overall, the system has proved to be an option for stormwater management that can be recommended for on- site application. Similar system may be designed based on several factors such as rainfall depth, facility size and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한국어

본 연구는 Low Impact Development (LID) 시설로서 도로에 적용 가능한 수목여과시설을 개발 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목여 과시설의 적용가능성 및 효과 검증을 위해 Test-bed 규모의 시설을 조성하여 총 17개월(2011년 6월 ~ 2012년 11월)동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누적강우량 2 mm 이하의 강우시 발생되는 강우유출량은 시설내 전량 저류 되며 20 mm 이상일 경우 유입유량의 최소 20%가 시설내 저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우량에 따른 오염물질별 저감효과 를 분석한 결과, Total Pb는 70% 이상의 저감효율을 보여 오염물질 중에서 저감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금속, 입자상 물질, 영양염류 및 유기물 순으로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염물질별 평균 저감효율은 60∼ 7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소규모 강우(10 mm 미만의 강우)시 10 mm 이상의 강우 일 때 보다 오염물질이 함유된 강우 유출수가 시설 내에서 충분히 저류되기에 오염물질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강우량, 오염물질 저감효율과 같은 LID 시설의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물순환 효과 및 오염물질의 효율평가를 통하여 향후 본 시설과 유사한 시설의 설계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모니터링 지 점 현 황 및 수목여과시설의 설계
  2.2 모니터링 및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모니터링 결과
  3.2 물수지(Water balance) 산정
  3.3 저감효율 산정
 4.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지연 Jiyeon Choi.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손영규 Younggyu Son.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소영 Soyoung Lee.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유화 Yuhwa L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반시설연구본부 도로연구실
  • 김이형 Lee Hyung Kim.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