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모티콘과 음성화기호가 인터넷 댓글의 반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 암묵적 표시이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Experiment Studying Relationship between Paralinguistic Expressions and Ironic Messages of Internet : Implicit Display Theory

박현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Implicit display theory, the utterance must be recognized as achieving implicit display through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degree of ironicalness, and the discourse situation must be identified as ironic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of checking or inferring its constituent events/states. It these two criteria are satisfied, the utterance is judged to be ironic. Paralinguistic expressions of on-line messages, such as emoticons and adapted vocalizations, are visual surrogates of facial, vocal and behavioral cues in real life communications, and they become ironic cues which make online verbal messages ironic. To test these arguments, ironicalness of online verbal messages wi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cons, positive adapted vocalization, and no paralinguistic expressions were measured. Conclusivel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ironicalness, sarcasm, politeness, mocking, humor, speaker’s intention of four treated messages. Negative emoticons were reported to be the most ironic of all paralinguistic expressions because they caused pragmatic insincerity with positive verbal messages, revealing ironic intentionsof speakers. Positive emoticons which had been conceive as revealing speaker’s expectation in face to face communication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were conceived as less ironic due to subjects who didn’t regard them as ironic cues. Positive adapted vocalizations, on the contrary, were more ironic than positive emoticons because they were used frequently under negative situations.

한국어

문자로 소통하는 매개 환경에서는 사회적 맥락을 제공하는 단서가 부족해 반어법과 같이 미묘한 화자의 의도를 전달하기 어렵다. 암묵적 표시이론에 따르면 반어적 환경에 처한 화자가 표출하는 일련의 감정 단서는 반어법 성립에 기여하는데, 이모티콘과 같은 유사언어적 표현은 이러한 반어적 단서로 기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반어적 모욕의 메시지에 긍정 이모티콘, 부정 이모티콘, 긍정음성화기호, 무자극을 첨가한 댓글을 가외변인이 통제된 고등학생 네 집단에 노출시킨 후 그 댓글의 반어성을 측정한 결과, 네 집단에서 지각하는 반어성에는 서로 차이가 있었다. 부정 이모티콘이 포함된 댓글은 가장 반어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표면적으로 긍정적인 언어 메시지와 모순되는 화용론적 불충실성을 통해 화자의 반어적 의도가 표출되었기 때문이며, 긍정 이모티콘의 반어성이 낮게 나타난 것은 피험자들이 이를 긍정적 언어 메시지와 병행했을 경우에는 반어적 단서로 지각하지 않았던 것이 원인이라 하겠다. 또한 긍정음성화기호는 부정적 맥락에서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긍정 이모티콘보다 더 반어적으로 지각되었다.

목차

요약
 1. 연구 목적
 2. 기존 문헌의 고찰
  1) 반어법 이론에 대한 고찰: 암묵적 표시이론(IDT)
  2) 반어적 단서로서의 이모티콘과 음성화기호
  3) 연구가설의 설정
 3. 연구설계 및 방법
  1) 실험연구의 설계
  2) 변인의 측정
  3) 실험연구 절차
 4. 분석 결과
  1) 조작화 및 집단동질성 검증
  2) 분석 결과 및 가설의 검증
 5. 연구결과의 논의
 6.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현구 Hyun Goo Park. 창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