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자본이 SNS의 관계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Effects of Perceived Social Capital on Relational Uses of Social Network Sites(SNSs)

민마로한, 박승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how perceived social capital affects relational uses of social network sites(SNSs). As key dimensions of perceived social capital, perceived social capital provided by one’s familyand friends(strong ties) and perceived social capital provided byone’s group/organizational affiliations(weak ties) were considered. Relational uses of SNSs were conceptualized into two dimensions: external-connection orientation(i.e., SNS uses oriented toward building and broadening new social connections) versus internal-connection orientation(i.e., SNS uses oriented toward deepening and strengthening existing social connections). Our findings revealed that relational uses of SNSs oriented toward building/broadening new connections were best predicted by perceived social capital provided by one’s weak ties. In addition, our data rendered support for the social compensation(“The poor become richer”) hypothesis. In sum,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perceived social capital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lationship formation on SNSs.

한국어

본 연구는 개인이 인식하는 사회자본이 SNS의 관계적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우선 SNS의 관계적 이용을 두 가지 유형(즉, 외적 관계 경향성과 내적 관계 경향성)으로 구분하였고, 사회자본을 강한 유대 사회자본과 약한 유대 사회자본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약한 유대 사회자본에 대한 인식이 SNS 이용의 외적 관계 경향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SNS의 이용이 현실에서 이미 강한 유대를 가지고 있는 집단에 대해서 이루어지기보다는 약한 유대 집단과의 관계맺음을 위해서 이용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와 더불어 외적 관계 경향성에서 사회적 강화가설이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자본은 SNS에서 새로운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자본은 선형적이고 일방향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 사회자본의 유형, SNS 이용 유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차별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SNS와 ‘관계맺음’
  1) SNS와 관계적 이용
  2) 사회자본과 그 인식
  3) 온라인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자본
  4) 사회적 강화 가설과 사회적 보상 가설
 3. 연구 모형
  1) SNS의 관계적 이용과 그 유형화
  2) 연구 가설
 4.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및 표본
  2) 주요 변인의 측정
 5. 연구 결과
  1) 응답자 특성
  2) SNS의 관계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6.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연구의 한계와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마로한 Marohan Mi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
  • 박승관 Sung Gwan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