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세 한・일 문학작품에 나타난 기녀복식의 조형적 표현 고찰 ‒ 『춘향전』과 『호색일대남』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ntemplation o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Ginyeo costume as expressed in early modern literature of Korea and Japan ‒with a special emphasis on 『Chunhyangjeon』and 『Koshoku ichidai otoko -

조선희, 박옥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the formative expression of ginyeo costume as expressed in early modern literature of Korea and Japan. The study result suggested that both countries have same standard in expressing beauty, which were white skin, neat hair and pretty face. Both ginyeo and geisha tempted men by subtly exposing slender figur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difference in beautiful silouhette. In 『Chunhyangjeon』, a beautiful silhouette in Korea is described as slender upper body and exaggerated lower body. On the other hand, in 『Koshoku ichidai otoko』, a beautiful silhouette in Japan is described as properly rich straight-line silhouette, which reflects the aesthetic sense of Japanese male at the time. In addition, there is description in 『Koshoku ichidai otoko』on sensual feeling raised by smooth leg and white neck. The similarity in color expression of costume worn by ginyeo and geisha is that they both wore luxurious prime colors so that prime colors would make contrast with white skin. In 『Koshoku ichidai otoko』, the protagonist gives compliment on the costume of a geisha with color matching with the season. It tells the importance of color scheme fitting to season in Japan. The similarity in material and pattern of costume worn by ginyeo and geisha is that they both wore costume decorated with pattern and made of expensive material. They wanted to show off their financial capability and enhance refined or luxurious taste by expensive material and patter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attern used. It is possible to know through 『Chunhyangjeon』that Korean ginyeo drew or embroidered pattern on costume. Such use of pattern on costume is not found elsewhere including folk paintings. Meanwhile, it is possible to know through 『Koshoku ichidai otoko』that Japanese geisha used unique geisha pattern on her costume so that people can know she is a geisha from far away.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근세 한・일 문학에 나타난 기녀복식의 조형적 표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형태 표현의 경우 양국의 유사점은 흰 피부, 단정한 머릿결, 고운 얼굴이 미의 기준이 되었다. 또한 가녀린 몸매를 은근한 노출을 함으로써 남성들을 유혹했다. 반면 『춘향전』에는 세류흉당의 가늘고 여린 상체와 크게 부풀린 하체의 하후상박(下厚上薄)의 실루엣으로 나타났다. 『호색일대남』의 경우, 적당히 풍성한일자형 실루엣을 이루었는데 당시 남성이 미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매끈 한 다리와 흰 목덜미의 관능적인 느낌에 대한 묘사가 나타난다. 양국 기녀복식의 색채표현의 유사점은 흰 피부와 대비가 되는 화려한 원색이나 원색대비의 의복을 착용한 것이다. 반면『 호색일대남』의 경우, 계절에 맞는 색채를 사용한 기녀의 옷맵시에 찬사를 보내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계절에 어울리는 색 채배색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양국 기녀복식의 소재 및 문양 표현의 유사점은 값비싼 소재와 문양으로 장식한 의복을 착용한 것이다. 이는 경제적인 능 력에 대한 과시와 값비싼 소재의 의복을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하여 세련되거나 화려한 분위기를 더하기 위해서였을 것이 다. 반면, 차이점으로 나타나는 것은 우선 『춘향전』의 경우, 풍속화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던 문양의 사용이 나타난 점으로 소설을 통해 당시 기녀들의 의복에 문양을 그리거나 수놓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색일대남』의 경우, 기녀를 상징하는 문양의 사용이 차이점으로 나타난다. 이는 기녀일행을 멀리서 보아도 그 기녀임을 바로 알아볼 수 있도록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사회적 상황
  2.2 근세 한・일 문학작품의 특성
  2.3 기녀 복식의 美
 3. 문학에 나타난 기녀복식의 조형적 표현
  3.1 형태 표현
  3.2 색채 표현
  3.3 소재 및 문양 표현
 4.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조선희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박사과정
  • 박옥련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