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요괴 문화 속 여성 요괴의생성과 이중성의 구조 - 설녀(雪女), 우부메(産女), 야만바(山姥)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reation and Duality of structure of Female Yokai in the Japanese Yokai Culture - With a Special Attention to Female Yokai Yukionna, Ubume, Yabanba -

박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 far, Japan’s three female ghost, Yukionna, Ubume, Yabanba Thus, just as the image of the times, the flow of human and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contact, and show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been able to find out. Yukionna in the case of a human image which had a horrible monsters resistant to the presence of the femme fatale, Ubume not borne a child, the death for the children, with resentment about motherhood with an endless existence, man must likewise bar a dreadful plague that had abrasive and resistant to the presence at the same time changing the image or the image itself in the dual structure will 've made ​​. As a result, the first three women to the traditional ghost image ghost comes from the presence of resentment horrible, and the second for children due to the constant obsession and love that you want to keep the child with the presence of resistance was a point in common with the structure in the dual has is that. However, this double structure is fundamentally caused by the in-depth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udy, while the first three female ghost was thinking.

한국어

지금까지 살펴본 일본의 세 여성 요괴, 설녀, 우부메 야만바의 이미지도 마찬가지로 이와 같이 시대적, 사회적 변용 속에서 인간과의 교류와 접촉, 그리고 인식 정도에 따라서 그 차이를 보여 왔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설녀의 경우는 공포스러운 요괴에서 인간적 이미지를 겸비한 모성과 팜므파탈의 존재로, 우부메의 경우는 아이를 낳지 못하고 죽은 것에 대한 원념과 더불어 자식에 대한 모성을 끝없는 모성을 지닌 존재로, 야만바도 마찬가지로 인간을 괴롭히는 두려운 마성과 모성을 동시에 겸비한 존재로 그 이미지는 변화하거나 이중적 구조 속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어 왔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세 여성 요괴는 첫 번째로 전통적인 요괴 이미지에서 비롯된 공포스러운 원념의 존재, 두 번째로 아이들에 대한 집착과 애정으로 인하여 끊임없이 아이를 지켜내고자 하는 모성을 지닌 존재였다는 점에서 이중적 구조를 지닌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적 구조가 근원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그 심층적인 배경과 의미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함을 앞의 세 여성 요괴를 고찰하면서 생각하게 되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설녀의 이중성-모성과 팜므파탈
 3. 모성과 원념의 산물, 우부메
 4. 야반바(山姥)의 이중성
 5. 이중성의 의미-여성 요괴의 한계성과 현실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박희영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