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자아정체감 연구 : 마르시아의 정체감 지위이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Formation of foreign brides' self-identities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in Korea : Based on Marcia’s Theory

장인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eign brides’ self-identity underwent by living in Korea. Based on Marcia’s ‘identity status theory’, this case studies the life history through interviews of 12 female immigrants living in Jeonnam area; 4 from China, 3 from Philippines, 3 from Vietnam, 2 from Cambodia. This study implemented from May, 2011 until April, 2012. A total of 20 interviews were carried out in 12 months. Grounded on the theory, the interviews involved questions regarding jobs, religions, politics, and the marriage itself. Political related questions were changed to societal position related questions; due to the fact the interviewees’ understanding of political matters was hard to understand. As the research conclusion, the levels of the foreign brides’ self-identities according to the Korean situations were studied and depicted from Marcia’s ego-identity 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and identity diffusion points of view. What determines these women’s formation of self-identities came down to the cultures of countries they were from, the speaking proficiency of the Korean language, the level of their education, their children’s upbringing and education, the attitude of the other members of the family including the husband, and their personal existence within the family. This study is not to stipulate the formation of self-identities of foreign immigrant brides through these few case studies, but to see the obvious characteristics per case and investigate in depth and give consideration in order to draft policy of education or develop education programs. Also, instead of stereotyping the 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seeks to accept the differences existing between the cultures so that we may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oreign brides’ ego and adaptation process in order to sympathize with them.

한국어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에서 적응하는데 있어 출신국가별 자아정체감의 차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 다. 마르시아의 정체감 지위이론에 근거하여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중국(4명), 베트남(3명), 캄보디아(2명) 출 신의 결혼이주여성 12명을 대상으로 심충면담을 통한 생애사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2 년 4월까지 12개월 동안 총 20여 차례 면담을 실시하였다. 마르시아의 이론에 근거하여 직업, 종교, 정치, 결혼 관련 질문을 하였으며 정치 영역은 사회 영역으로 변경하였다. 이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정치라는 주제에 대해 이해가 쉽지 않았고, 대부분의 피면담자가 서투른 한국어 실력으로 일상용어가 아닌 전문 용어를 이해하는 것 자체를 어려워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로 다양한 수준의 정체감 유형이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수준을 한국 상황에 근거하여 정체감 확립, 정체감 유예, 정체감 상실, 정체감 혼란의 관점에서 특성을 기술하 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은 출신국의 문화, 한국어 숙달도 및 교육수준, 아이에 대한 양육과 교육, 남편을 비롯한 다른 가족 구성원의 태도, 본인이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 등으 로 나타났다. 현재까지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그들의 다양성을 존중하기보다는 동일화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본 연구는 국가별 정체감의 형성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 그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정 책 입안이나 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국가별 특성을 고정관념화하기보다 는 각 국가별로 존재하는 다양성을 인정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정체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료로 활용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I. 들어가며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수집 방법
  3. 생애사적 사례 연구
 Ⅲ. 출신국가별 정체감 지위수준에 따른 특성
  1. 중국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지위 수준
  2.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지위 수준
  3.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지위 수준
  4. 캄보디아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지위 수준
 Ⅳ.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1. 마르시아의 정체감 수준에 근거한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2. 결혼이주여성의 정체감 형성의 결정 요인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인실 Chang, In-sil.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