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cavated from the ancient ruins of South Korea's status and features Wooden Artifact
초록
영어
Wooden Artifact from the ancient times of human life and has been used extensively throughout.Wooden Artifact, but in recent years, should enable the study began. This paper has been unearthed in the meantime,Wooden Artifact look at the features of the status and by type, Haman Seongsan fortress excavated from Wooden Artifact way through the production, use, and will look the way. To date, the most excavated from the ruin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in addition to the Bronze Age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excavated at practices. In addition, a water storage facility Wooden Artifact, water polo, etc.Most transfusions were excavated, in addition to many grave was excavated in the ruins. Excavated from the domestic aspects of Wooden Artifact confirmed as being very different look , but in fact a large morphological changes in temporal aspect is not confirmed.Wooden Artifact excavated ruins just by seeing the patterns Wooden Artifact already in the Bronze Age of the basic system was form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kind of lift is characterized by diversified regional and ruins along the advanced model tended to stand out. Meanwhile, classified by type excavated haebomyeon Wooden Artifact Produc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depending on farm equipment, tools, container, living ware, ceremony ware absence varied as construction material . And Haman Seongsan fortress excavated from Wooden Artifact way through the production and use by type look at the functional aspects of each type mokgi through species and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that was higher. This Wooden Artifact of the Ancients has been very useful in daily life, agriculture and daily life throughout the notice that was used in a variety of various types for Wooden Artifact courtesy of the daily life of the ancients, as well as the spiritual world of the ancients it seems to be that affected. Thus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e past, material culture and daily life to study in detail the pottery, iron, stone, etc., with a value of individual studies as a research Wooden Artifact accumulation of more data in the future through the various studies are expected to be true.
한국어
목기는 고대부터 인간생활의 전반에 걸쳐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목기연구는 최근 에 와서야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동안 출토된 목기의 현황과 종류별 특 징을 살펴보고,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목기를 통해 제작방식,사용방식 등을 살펴보고 자 하였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목기가 출토된 유적의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경기권7개소, 강원권5개소,충청권25개소,전라권18개소,경상권58개소 등의 유적에서 목기가 출토 되었다.시기적으로는 삼국시대가 가장 많았고,그 외에 청동기시대와 통일신라시대 유적 에서 출토된 사례가 많았다.또한 목기는 저수시설,수구, 수혈 등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었 으며,그 외에 분묘유적에서도 많이 출토되었다. 국내에서 출토된 목기의 양상을 살펴보면 매우 다양한 형태로 확인되고 있지만 사실 상 시기적으로 큰 형태적 변화 양상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출토된 유적별 목기 양상을 보아 목기의 기본적인 체계는 청동기시대에 이미 형성되었으며, 삼국시대에 들어서 그 종 류가 다양화되고 지역적 혹은 유적별 특징에 따라서 고급화된 기종이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동안 출토된 목기를 종류별로 분류해보면 제작기법 및 용도 등에 따라 농기구, 공 구,용기구,생활구,제사구,결구부재,건축부재 등으로 다양했다. 그리고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목기를 통해서는 종류별로 그 제작방식과 용도를 살펴보고 종류별 수종을 통해서 목기의 기능적 측면과의 관련성이 높았던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이를 통해 목기가 고대인들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농경 및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목기들은 의례용으로 고대인들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고대인들의 정신세계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 으로 보인다. 이처럼 과거 물질문화의 실체를 파악하고 생활상을 구체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어서 토기,철기,석기 등과 더불어 개별 연구 자료로서의 연구 가치를 가지는 목기가 앞으로 더 많은 자료의 축척을 통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목차
Ⅰ. 머리말 - 연구 현황
Ⅱ. 고대 한국의 목기 출토 현황과 그 종류
1. 목기의 출토 현황
2. 목기의 종류와 특징
Ⅲ. 함안 성산산성을 통해서 본 고대 목기의 제작과 사용
1.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기의 제작과 사용
2.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기의 수종 구성
Ⅳ. 맺음말 - 향후과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