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Mujangsa Tombstone comparison of text and text Wang Xizhi
무장사비와 왕희지체의 대비고찰
초록
영어
The Mujangsa Tombstone is known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second year of King Aejang's reign(801) in Shilla, approximately 1,200 years ago. It had remained in the back street of history for the long period of a thousand years until 1760 when Igye Hong Yang-ho discovered one of its pieces. Once being discovered, the piece created such a sensation in the epigraphy of Joseon and China. Later, two additional pieces were discovered and made it possible to estimate the size of the tombstone roughly. However, those pieces were not enough to confirm its compiler and writer, which has raised an issu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so far report that its compiler was Kim Yuk-jin and that its writing style was Wang Xizhi,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opinions on who wrote the epigraph among them. There are three major theories on the writer: the first one maintains that Kim Yuk-jin wrote; the second one maintains that it should be a combination of Wang Xizhi letters; and the final one raises the possibility that it was written by a third person. Some scholars arguing that it was a combination of his letters said that the letters were collected from Nanjeongseo.However, a comparison between them immediately told that only a couple of letter on the epigraph came from the book. Furthermore, some letters were written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the book. Thus it will be irrational to hold onto the second theory only with some letters. As seen in the comparison table, the Mujangsa Tombstone was modeled on Jipjaseonggyoseo of Wang Xizhi's books with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citations from Heungboksadanbi and Nanjeongseo. Second, the letters that were found in Wang Xizhi's books but had different forms from their counterparts in the boo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of them contains the letters that were similar to his letters but slightly different from them in the locations and angles of tittles. In such a case, it seems that his letters were followed with variations to the locations and angles of tittles. A casual glance will make one mistake it for a collection of his letters, but a close comparison will detect different forms between them. The investigator assumed that the writer of the epigraph was good at the writing style ofWang Xizhi, wrote the letters very similar to his on the epigraph, and slightly added his individuality according to some kind of habit. Even though the writer's letters do not perfectly match those of Wang Xizhi, they are excellent enough to pass as a reproduction, which gives some hints at his level. The other group includes the letters that were clearly found in his books but differed from his writing style.When one considers only whether there are corresponding letters in his books, their existence cannot be a topic of argument. However, the letters were written in a different style and in a creative manner. They are rather more refined than his elegant Haengchoseo, being the results of consideration to prevent excessively soft and beautiful letters and achieve overall balance and harmony in them. Third, there are as many as 114 letters not found in his books. They must be the writer's own creation. There is another possibility that there is a separate copy in addition to the three types of handwriting compared in the study, but it should be backed up by a clear piece of evidence that another copy existed in Shilla. Close comparison among the writing style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doubtful that Kim Yuk-jin was the writer. Secondly, the old collection theory is only partially acceptable and cannot complete a legitimate theory. Finally, the third theory of a third writer has the greatest possibility. Three newly raised letters “皇龍寺” should be an important keyword to imply who the writer of the epigraph was. Even if the writer of Mujangsa Tombstone is not settled here, the verification of its format and writing style will at least lead to an estimation that it was a creation by a Buddhist priest at Hwnagryong Buddhist Temple rather than a collection ofWang Xizhi's letters.
한국어
무장사비는 지금으로부터 1200여 년 전인 신라 哀莊王2년, 즉 801년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760년에 耳溪 洪良浩(1724-1802)에 의해 비편이 발견될 때까지 천여 년의 긴 세월동안 역사의 뒤안길에 묻혀 있었으며, 발견된 비편은 조선과 중국의 금석학계 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두 개의 비편이 추가로 발견됨으로써 비의 규모는 대략 가늠할 수 있었지만 비문의 찬자와 서자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가 쟁 점으로 떠올랐다. 그동안 학계의 연구를 종합해보면,비문의 찬자는 金陸珍으로 요약되며,서체는 모두 王羲之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그러나 書者의 문제만은 저마다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이에 대한 제가의 설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서자를 김육진으로 보는 견해이 며,둘째는 王書를 集字한 것으로 보는 견해이고,셋째는 第三의 인물이 書寫했을 가능성을 가정하는 견해이다. 그동안 집자비를 주장한 일부 학자가『蘭亭叙』의 집자를 운운하였는데, 실제로 대조 해본 결과『난정서』에 보이는 글자는 몇 글자에 불과하였다. 또『난정서』에 보이는 글자를 다르게 표현한 경우가 보이므로 단지 몇 글자만으로 집자설을 주장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대조표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듯이, 무장사비는 왕서 중에서도『集字聖敎序』를 전범으로 삼고 있었으며,그 외에『흥복사단비』와 『난정서』는 활용된 빈도수가 극히 미미하였다. 둘째, 왕서에 보이지만 모양이 다른 글자는 그 다름의 정도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되 었다. 하나는 왕서와 흡사하지만 점획의 위치와 각도 등이 약간 다르게 표현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왕희지의 글씨를 답습하되 점획의 위치와 각도에 변화를 준 것으로, 얼핏 보면 왕서를 집자한 것 같지만 정밀하게 대조하면 다른 형태를 보였다. 필자의 생각에는 왕희지 체에 능한 書家가 매우 핍진한 글씨를 구사하면서 자기 습관적인 일종의 개성미가 미세하 게 가미된 경우로 보였다. 王書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았음에도 모사로 착각할 정도로 능 란함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서사자의 수준을 상상할 수 있다.다른 하나는,왕서가 분명히 있음에도 書體를 다르게 표현한 경우이다. 단순히 왕서의 존재유무만을 따진다면 존재하 는 글자로 볼 수 있지만,이것은 형식상 書體를 달리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한 경우이다.여 기에 속하는 글자들을 선별해 보면, 왕희지의 유려한 행초서보다 다소 정제된 형태를 지향 하고 있다.이는 비문이 지나치게 연미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전체적인 균형과 조화를 이 루기 위한 書者의 배려로 보인다. 셋째,비면의 글자 중에서 왕서에 전혀 보이지 않는 글자가 무려114자나 되었다. 그 러므로 이 글자들은 서자의 창작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혹시 비교의 대상으로 삼은 세 필 적 이외에 별도의 本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그 경우 다른 모본이 신라에 존재 했다는 명확한 증거를 먼저 제시해야 할 것이다. 정밀하게 서체를 대조한 결과,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첫째, 김육진을 서자 로 보는 설은 회의적이다.둘째,종래에 주장되어 온 집자설은 부분적으로만 인정될 뿐 전 체적으로는 설이 성립되지 않았다.셋째,제3의 서자설은 그 가능성이 가장 높다.새롭게 제기된‘皇龍寺’세 글자 는 비문의 서자를 암시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여기에서 무장사비 의 서자 문제를 확정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비문의 형식과 서체의 검증을 통해 최소한 집자 비가 아닌 황룡사의 스님이 쓴 창작비임을 추론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書者에 관한 諸說의 검토
1. 金陸珍說
2. 集字說
3. 第三者說
Ⅲ. 藏寺碑와 王書의 比較分析
1. 藏寺碑와 集王書碑의 構成形式比較
2. 藏寺碑와 王書의 書體比較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