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재 감정 제도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ppraisal System of Cultural Assets

최공호, 고우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ultural properties are of double-sidedness as public value and as private property. They are regulated by law in some degree to protect public value but they are secretly transacted in private space so it is hard to exactly grasp the reality.Especially appraisal business related to cultural property distribution is autonomically practiced by associations, corporations and big auction companies based on market principles, which causes constant issues of credibility and transparency. Representative Korean organizations for appraising cultural property include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and Cultural Properties Provisional Articles in public sector and Korea Traditional Art Association corporat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and Korean Art Appraisal Co., Ltd. etc. in private sector. There is no case where national organizations appraise privately owned cultural properties except for particular reasons such as when defined in rules or regulations and this kind of appraisal is mainly done in relevant corporate bodies, for example,Korea Traditional Art Association corporate, Korea Movable Cultural Properties Promotion corporat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etc. Appraisal personnel training centers in Korea are only master's course in Myongji University and Kyonggi University and appraisal classes operated in a corporate sort of private organizations. There is no public appraisal or appraiser system in France, either. Depending on cases, however, they supplement absence of public appraisal system with independent appraisers and representative appraisal associations and relevant foundations and companies along with national-level appraisers such as judicial appraiser (appraiser designated by court), customs appraiser, appraisal deliberation committee through strengthening their social standing and building up trust with them. In addition, they foster human resource equipped with rich and insightful perspective by providing high quality curriculum and real work opportunities through national and private schools where appraisal personnel are invited as professors. Above this, there are appraiser federations that promote constant learning through reeducation on appraisers and special courses operated in auction companies, which shows appraisal personnel are trained in various organizations. Through analysis results from a survey to cultural property appraisal experts, here are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appraisal system and some suggestions made for establishment of appraisers and organizations through identifying problems in domestic and foreign appraisal systems. First, the state-controlled appraiser system should be introduced. Korea should also creat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s through composing '(tentatively named) Professional Cultural Properties Appraisal Service' as 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affiliated corporate body. Second, professional appraisers should be fostered to select those who are with knowledge and discernment in cultural properties and a system based on appraiser license issued by government should be adopted. Thir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ultural property appraisal should be established to foster specialized appraisers. When order in cultural property distribution is established and buyers and sellers can transact properties at ease through these efforts, vitalization in cultural property distribution markets will be more promoted.

한국어

문화재는 공공적 가치와 사유재산이라는 양면성을 띄고 있다. 공공적 가치보호를 위해 문 화재보호법으로 일정부분 규제하고 있으나 사적공간에서 비공개 거래가 관행화 되어 정확 한 실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특히,문화재 매매 유통 관련 감정업무가 시장원리에 따라 사설기관인 협회,법인,대형 경매회사에서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끊임없는 신뢰도 및 투명성 시비를 낳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문화재 감정 단체는 국가기관인 문화재위원회,문화재감정관실,민간단체 인(사)한국고미술협회, (사)한국화랑협회,(사)한국미술품감정협회 등이 대표적이다. 현 재 국내에는 법령의 규정 등 특정한 사유를 제외하고 국가기관에서 개인소장 문화재를 감 정하는 경우는 없으며,이에 대한 감정은 관련 법인체인(사)한국고미술협회와 (사)한국동 산문화재진흥원,한국화랑협회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또한, 문화재 감정 인력을 국가적 차원에서 양성하는 제도는 전무한 상태이다. 국내의 유일한 문화재 감정 인력 교육 기관으로는 명지대학교와 경기대학교의 석사과정뿐이며, 법인 성격의 민간단체에서 사적 으로 운영하는 감정교육 강좌만이 운영되고 있다. 프랑스 역시 공인감정제도나 감정사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안에 따라서 사법감정사(법원지명감정사)나 세관감정사, 경매심의위원회 등 국가차원의 감정사와 함 께 독립감정사 및 대표적 감정연합회와 관련 재단, 회사들을 사회적 입지를 보다 공고히 하며 신뢰를 구축해 감정공인제도의 부재를 보완한다.또한,감정 업계 관계자를 교수로 초빙한 몇몇 국립 및 사립학교 들을 통해 양질의 커리큘럼 및 실무기호를 제공하여 풍부하 고 통찰력 있는 안목을 가진 인재를 육성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감정사들의 재교육을 통 하여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감정사연합단체들과 경매회사주도하에 특별과정으로 교 육이 운영되고 있어 다양한 기관을 중심으로 감정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문화재 감정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및 통해 우리나라 감정제 도 현황을 파악하고, 국ㆍ내외 감정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감정사와 기관 설립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국가 관리 감정사제도의 도입이다.우리나라도 문화재청 산하에 법인형태의 ‘문 화재전문감정원(가칭)’을 구성하여 법적,제도적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전문적 감정사를 양성하고 감정사 자격증 제도를 도입하여 문화재에 대한 지식 과 식견을 갖춘 자를 선별하고 국가에서 자격증을 발행해야 한다. 셋째,전문화된 감정사 양성을 위한 문화재 감정 교육기관을 설립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문화재 매매유통 질서를 확립하고 거래당사자들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면 문화재 매매유통 시장의 활성화는 더욱 촉진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국내 문화재 감정 현황 및 실태조사
  1. 문화재 감정 단체 현황
  2. 문화재 감정인력 양성 형황
 Ⅲ. 국외 감정제도 및 감정인력 교육기관 현황
  1. 프랑스 문화재 감정제도 현황
  2. 프랑스 문화재 감정인력 양성 현황
 Ⅳ. 문화재 감정제도 개선 방안
 Ⅴ. 맺음말
 Abstract

저자정보

  • 최공호 Choi, Gong-Ho.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수
  • 고우리 Ko, Woo-Ri.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무형유산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