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Restitution Status and Problems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국외 유출 한국문화재의 환수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초록
영어
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turn cases through diverse negotiation channels after World War II, it is difficult to say international society has high notion of returning cultural heritages to their original owners. But until recently, more attention is being drawn to the issue of returning cultural properties illicitly imported and exported to the original owners, in and out of country. Domestically, issue of returning the old books of Outer Gyujanggak which have been a diplomatic agenda between Korea and France since 1993 finally reached to an agreement at last after persistent negotiation, returning 297 Uigwe books in May 31st, 2011 for the first time in 145 years, which are stored since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bout 1,200 documents including Uigue stolen under Japanese regime were returned in December 6, 2012. It was a return in about 100 years since they were illicitly exported. But it is only a beginning. Outflow of cultural hproperty under Japanese regime was systematic and done in grand scale. Prof. Hayashi Yoko of Shobi univ, art management, an Japanese expert in cultural heritage return, acknowledged over 300 thousand Korean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illegally exported to Japan under the Japanese regime, and 90% of them are private possessions. In December 9, 2003, since a new circumstances of international law is created as Japan joined 1970 UNESCO Convention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anticipated to make a breakthrough to restitution negotiation of Korean cultural Property in Japan by fulfilling the following; (1)newly established support to cultural heritage researchers of both countries for promotion of restituting Korean cultural property illicitly exported to Japan, (2)deliberation on policy for active donation of Korean cultural property illicitly exported to Japan in private possession, ①promotion of revision to the act related to public disclosure expedition of art work in art museum in 1988 and international recommendation on establishing conditions of taxation on art work donation to international level(U.S.A, England, France), ②urging of priority return of Korean cultural property possessed by national, public institutions since ‘cultural property exported by occupying nation under the regime of the occupying nation’ is subject to return as stated in the Japanese government’ stated in agreement proceedings of 「1965 Cultural Heritage Negotiation」③ as problem of Korean cultural property in Japan draws little attention from most of private owners in Japan,motivating donation by in-depth promotion of cases that Japanese collectors who donated the heritages are viewed very favorable, and receiving a lot of gratitude. October 22, 200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mported Uh Jae Yeon general flag which had been exhibited in U.S Naval Academy after taken by U.S army in Sinmiyangyo in 1871 into the country for 10 years at maximum.Now, other than 20 items are kept in U.S Naval Academy Museum and Marine Corps Museum, location of 460 items in U.S among 480 cultural heritages illicitlly exported is still unidentified. Rather, it is clear outflow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to U.S in a chaotic era of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and Korean War is the most immense outflow following Japanese regime. According to a research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March 31, 2013, export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to U.S counts up to total of 42,325 items, 121 institutions owning the items, of which 8 institutions own 205 Korean military cultural properties in 88 cases, and as institution holding Uigue is newly discovered, on-site investigation on actual holding institution in the U.S and also, in-depth research on outflow of cultural heritage to U.S is demanded. As for illegally exported cultural property in foreign countries, the circumstance of outflow must b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active restitution movement must be given based on the investigation. But there are so many obstacles to restitution of our treasured cultural property. It is because our government has difficulties in acting actively for the concern of diplomatic troubles. So for the restitution of our cultural property dispersed throughout the foreign countries, restitution action on the civilian level should be more active than depending on the government wholly. To promote active restitution of illegally exported cultural heritage outside country, if an efficient governance of government supporting administration and funding with the public in the front is able, more significant and efficient restitution of our cultural properties illegally exported throughout the world is expected.
한국어
2 세계대전 이후 이들 다양한 협상경로를 통하여 다수의 반환사례가 있었지만, 문화재 의 기원국 반환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 내외적으로 불법 반출된 문화재의 기원국으로의 반환문제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1993년부터 한ㆍ불간 외교현안으로 남아있던 외규장각 도서의 반환문 제가 양국간의 끈질긴 양자협상 끝에 최종 합의되어 의궤 297책이 145년만인 2011년 5월 31일 귀환,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일제 때 강탈당한 조선왕실의궤 등 도서 1,200 여 책이 2012년 12월 6일 돌아왔다. 반출된 지 100여년만의 귀환이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이다.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유출은 실로 체계적이고 대규모이다. 일본 내 문화재 반환 전문 연구자인 하야시 요꼬 쇼비대 예술경영학과교수는 2007년 한일 불법문화재 반환촉진포럼 에서 30만점 이상의 한국문화재가 일본강점기에 일본에 유출되었으며, 이중 90%가 민간 소유 문화재라고 밝히고 있다. 2003년 12월 9일 일본이 유네스코(UNESCO)의 「1970년 문화재의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양도의 금지와 방지 수단에 관한 협약」에 가입함에 따라 한ㆍ일간 문화재 반환에 관한 새로운 국제법상의 환경이 조성된 바, 문화재청은 아래사항 을 이행하여 일본소재 한국문화재의 환수협상에 새로운 물꼬를 트도록 기대한다: (1) 일본 유출 한국문화재 환수 촉진을 위해 양국 문화재 연구자간의 협의체 신설지원, (2) 민간소 유 일본유출 한국문화재의 기증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측면강구 ① 공개촉진의 근본문제 해소를 위한 1988년 미술품의 미술관에서의 공개촉진 관련 법률의 개정유도, 미술품 기증 에 대한 조세제도의 국제적 수준(미국,영국,프랑스 수준)으로의 환경조성에 대한 국제적 권유, ② 「1965년 문화재협정」의 합의의사록에 명시된 “일본정부의 기증권장”에 대한 구 체적 이행 조치의 일환이자, 유네스코 1970년 협약에서 “점령하에서 점령국에 의해 수출 된 문화재”는 반환대상이므로 국ㆍ공유기관소장 한국문화재의 우선적 반환촉구, ③ 일본 에서 재일 한국문화재문제는 개인 소장가의 대부분이 관심이 매우 낮은 바, 한국에서 작품 을 기증한 일본인 수집가가 호의적으로 평가되고 진심으로 감사를 받고 있다는 사례의 심 층홍보로 기증 동기유발. 문화재청은 2007년 10월 22일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군에 빼앗긴 뒤 미 해군사관학 교 박물관에 전시 중이던 어재연(魚在淵)장군기를 최장10년간 빌려 국내에 들여왔다.현 재 미국 내 소재가 확인된 미 해군사관학교 박물관과 미 해병대박물관에서 보관 중인 20여 점 외에 유출 당시의 유물 480여점 중 나머지 460여점의 미국 내 소재가 현재 미확인 상태 에 있다. 이외에도 미 군정기와 한국전쟁기의 혼란된 사회분위기에서 미국으로의 한국문 화재 유출은 일제 강점기에 이어 가장 큰 규모의 유출일 것은 분명하다. 2013년 3월 31일 현재 문화재청 통계에 잡힌 미국 유출 한국문화재는 총 42,325점, 소장기관 121개 처로, 이 중 한국군사문화재 소장기관은 8개처 88건 205점이고, 미국 내 조선왕실의궤(朝鮮王室儀 軌)의 소장처가 새롭게 발견된 바,미 실사 소장기관에 대한 현지실사가 필요하며, 아울러 미국으로의 유출문화재에 대한 심층연구가 요구된다. 불법 반출된 해외 문화재의 경우 그 유출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 극적인 환수운동을 벌여야 한다. 그러나 소중한 우리 문화재의 반환을 위해 아직 풀어야 할 난제들이 많다. 왜냐하면 정부에서는 국가 간 외교 마찰이 우려되어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외국에 흩어져 있는 우리 문화재의 환수를 위해서는 정부에 전 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민간차원의 환수 운동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국외유출 문화재 환수의 활성화를 촉구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행정과 예산을 뒷받침 해주고 민간이 앞장 서는 효율적인 거버넌스(Governance)를 작동하게 되면 세계 도처에 흩어져 있는 불법 유출된 우리 문화재의 환수가 보다 가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_문화재 반환의 최근 국제사회의 동향
Ⅱ. 한국문화재의 국외유출경과
1. 일본의 고적 조사 출토품
2. 일본인이 수집한 대규모 도굴품
3. 유출된 서지류
Ⅲ. 일제강점기의 문화재유출과 환수문제
1. 1965년 한ㆍ일간의 문화재 및 문화협력에 관한 협정
2. 일본 내 민간 소유 유출 한국문화재에 대한 ‘권장’ 증진방안
Ⅳ. 시기별 문화재 유출과 환수문제
1. 신미양요ㆍ구한말ㆍ미군정ㆍ한국전과 이후 시기의 문화재 유출
2. 미국에서의 문화재 환수 사례와 과제
Ⅴ. 국가별 환수 과제와 전망
1. 일본
2. 미국
3. 유럽 등 기타지역
Ⅵ. 결론_문화재 반환의 정책적 접근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