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書藝의 傳統的 美意識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Calligraphy

한국서예의 전통적 미의식

이은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rigin of calligraphy has the same course as the birth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e origin of calligraphy started when Chinese characters were introduced. Even though Korean calligraphy was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calligraphy from the beginning, it did have the individualities of calligraphers and the national sense of beauty added to it in the indigenization process. This study set a couple of criteria and investigated aesthetic consciousness by the periods in order to identify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Korean calligraphy. Period 1 of immaturity falls in the days of Three Kingdoms when calligraphic culture was born along with the transmission of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period, the Three Kingdoms showed different types of aesthetics, which was attributed to racial characteristics. The calligraphy of Goguryeo sought after the beauty of Jolbak and had the aesthetics of leisure with the spirit of tolerance and leisure. The calligraphy of Baekje had human natural beauty and gentle humanness. The calligraphy of Shilla had a simple heart of requiring no decoration, trying to comply with nature, and following the emotions of the moment. The period offered the best presentation of folk Korean nature. Period 2 of maturity corresponded with United Shilla and Goryeo when the calligraphy of Tang Dynasty was transmitted, took roots, and settled down. The mainstream found a model in the calligraphy of Wang Xizhi and Ouyang Xun and tried to identify with it, in the middle of which the development of Sagyeong was prominent. There was Junghwami(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following the standards, controlling individual expressions, and pursuing harmony) to implement the calligraphy of Chin and Tang. Sagyeong had sublime beauty to express with the mind of awe. The pursuit of Junghwami continued into Joseon and was established as part of trad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Period 3 of full maturity falls in the early and middle Joseon Dynasty when the Songxue style was introduced and became in vogue and the indigenization of the Chinese calligraphy was further reinforced. There was a transition from the calligraphy of Chin and Tang to that of Songxue. With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Junghwami, calligraphers who performed the beauty of irregularity with free expressions expanded the amplitude of the calligraphic history.

한국어

서예의 기원은 한자의 발생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우리나라의 서예는 한자가 유입된 시점 으로 기원을 삼는다. 이로부터 중국서예의 영향을 받은 것이 사실이지만 그것이 토착화되 면서 서가의 개성과 민족적 미감이 가미되었다. 한국서예에 내재한 전통적 미의식을 추출 하기 위하여 몇 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시대별 미의식을 탐색하였다. 제1기는 한자의 전래와 더불어 서예문화가 탄생하는 삼국시대로서 미숙기에 해당한 다. 각각 다른 미적 유형을 보이는데 이는 민족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서예 에는 拙樸의 미를 추구하며, 포용의 정신과 여유를 가지고 다하지 않는 有餘美가 있다. 백 제의 서예에는 인간적인 자연미와 온유한 인간미가 있다. 신라의 서예에는 꾸미지 않아도 된다는 순박한 마음이 있고, 자연에 순응하려는 마음이 있고, 그때의 감정에 따르려는 마 음이 있다. 달리 말하면 不工의 淳樸美, 法自然의 順心美, 수시처변의 率意美가 있다. 이 시 기는 토속적인 한국성이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제2기는 당의 문화가 직래하여 서의 법이 확고히 뿌리를 내리고 정착하는 통일신라와 고려시기로서 成熟期에 해당한다. 왕희지와 구양순의 서법을 전형으로 삼고 이와 동일시 하려는 현상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사경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晉唐 서법의 구현에는 中 和美가 있고 寫經에는 경외의 마음으로 표현하는 崇高美가 있다. 중화미의 추구는 이후 조 선시대까지 이어져 한국서예사의 전통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제3기는 송설체의 유입과 유행, 그리고 중국서법의 토착화가 심화되는 조선초기와 중 기로서 完熟期에 해당한다. 진당의 서법에서 송설체로 전이가 이루어지며, 전반적으로 중 화미가 지배적인 가운데, 지류로서 거리낌 없는 자유분방한 표현으로 放逸美를 실현한 작 가들이 서예사의 진폭을 확장시켰다. 제4기는 중국서법에 대한 자각과 반성으로 복고와 탈피를 꾀하는 조선후기와 말기로 서 老熟期에 해당한다. 필법전수서로서 서론이 출현하며 이에 따라 서예의 학문적 심화가 이루어졌다. 미의식의 측면에서는 왕서를 전형으로 삼는 전통을 이어받아 중화미를 추구 하고, 창의적인 작가들이 서로 다른 미의식을 추구하는 개별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창암은 무법을 주장하며 노장적 자연미를 추구하고, 추사는 서한의 고예에서 ‘여유를 가지고 다하지 않는 뜻’(有餘􅈈盡之意)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추구하였다. 축약하면 有餘美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書와 心意의 관계
 Ⅲ. 연구 성과의 검토
 Ⅳ. 한국서예의 분기와 특징
 Ⅴ. 시대별 미의식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혁 Lee, Eun-Hyuk.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교양교육원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