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심공원을 위한 그래픽사인의 감성디자인 경향분석 - 광주광역시 광주공원을 대상으로 -

원문정보

A Trend Analysis of Emotional Design of Graphic Signs for Downtown Parks - Focused on the Gwangju Park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강준형, 임채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city park is a very important place in our life; thus, it enriches our mind and body. Also, it is a rest area for getting rid of accumulated stress and becoming relaxed. Scientifically, it provides citizens a variety of advantages such as purifying the atmosphere in a city, providing a rest area and a space for relieving stress and appreciating the natural beauty at a close range. A city part is perched remarkably in the world famous cities. The large-scale city parks are situated in the world's major cities. All of them also perform the role of a landmark. Particularly in the modern times that emphasize sensitivity, a mood and its own inclination would be required together in the practical objects such as design, image, etc. rather than the rational standard; therefore, it would be imperative to develop a signboard that would be added by design in addition to the theme part in a city park, which would be added by aesthetics. It is hoped to have a change into a city park that all the citizens can share through the change into an amusement cultural park that integrated with the theme park by focusing on the features of the Gwangju Park that is full of gigantic trees. Furthermore, it would be imperative to integrate an universal design for the park graphic signboard so that anyone would be able to understand and memorize it, and it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hat would mirror the features of Gwangju Park so that the emotional image would be delivered appropriately. Moreover, it would be required to have more preceding studies in order to make citizens have self-esteem through a comfortable civic amusement culture and a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한국어

도심공원은 우리들의 삶속에서 매우 중요한 장소로 심신(心身)을 풍요롭게 하며 가족, 연인들의 휴식공간으로 쌓인 스트레스 해소와 여유를 찾기 위한 공간이다. 과학적으로는 도시 속 대기정화 작용과 시민들에게는 휴식 및 스트레스 해소의 공간 그리고 근거리에서 자연 미를 감상하는 등 시민에게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유명한 세계적 도시에는 도심공원이 크게 자리 잡고 있으며 랜드마크로서의 역할 또한 같이 하고 있다. 특히 감성(感性)이 중요시되는 근세에, 이성적 기준보다는 디자인, 이미지 등 실용적 자체에서 분위기 및 자체 성향을 함께 요구된다. 보다 심미(審美)성이 가미된 도시공원 내 테마공원과 더불어 디자인이 가미된 사인물 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거목이 풍부한 광주공원의 특징을 살려 테마파크와 접목된 놀이문화 공원으로서의 변화로 모든 시민이 공유 할 수 있는 도심공원으로의 변모를 기대해 본다. 또한 공원 그래픽 사인물은 누구나 함께 이해하고 기억에 남 을 수 있도록 유니버설디자인이 접목되어야 할 것이며 광주공원이 갖는 특징들을 잘 보여 질 수 있도록 감성 이미지가 잘 전달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쾌적하고 시민의 놀이문화와 질적 생활 수준향상으 로 도시민의 자긍심을 갖도록 보다 많은 선행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검토
  2.1. 도심공원과 감성디자인
  2.2. 감성디자인과 사인
  2.3. 도심공원 내 감성디자인 배경
 3. 분석
  3.1. 광주공원 내 사인물 현황분석
  3.2. 분석 결과 및 논의
  3.3. 공원의 사인물 디자인 제안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준형 Kang, Jun Hyong.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강사
  • 임채형 Lim, Chae Hyong.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