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 연구 : 상호지향성 모델의 확장 적용

원문정보

Mutual Perceptions among Clients, Agencies, and Consumers on the Evaluation of Ad Creativity : Extending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김봉철, 최명일, 이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mutual perceptions among clients, agencies, and consumers on the evaluation of ad creativity applying the co-orientation model. In order to investigate agreement, congruence, accuracy among three groups, they exposed to real commercials as stimuli and evaluated ad creativity of them in terms of four dimensions, such as originality, appropriateness, clarity, and relevance. Results indicated that agreement between agencies and consumers is relatively high, whereas one between clients and agencies is relatively low. Also, clients show relatively higher level of congruence, but agencies have relatively lower level of one. Accuracy between agencies' evaluation of ad creativity and clients' perception of agencies' view on ad creativity, and between consumers' evaluation of ad creativity and clients' perception of consumers' view on ad creativity would be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accuracy between clients' evaluation of ad creativity and agencies' perception of clients' view on ad creativity would be relatively low.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need clients and agencies to consider on consumers' viewpoints on ad creativity.

한국어

본 연구는 확장된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창의성이 있다고 평가된 광고물을 대상으로 광고 창의성 평가척도로 타당성이 확보된 독창성, 적합성, 명료성, 상관성에 대해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광고주와 제작자 사이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제작자와 소비자 사이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일치도는 광고주 차원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제작자 차원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정확도의 경우는 제작자 인식과 광고주가 생각하는 제작자 인식, 소비자 인식과 제작자가 생각하는 소비자 인식에서는 높게 나타났으나 광고주 인식과 제작자가 생각하는 광고주 인식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고주나 광고 제작자는 광고 창의성에 대한 소비자의 생각을 많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및 연구문제
  1) 광고에서 창의성 개념
  2) 광고 창의성 척도개발 및 평가에 대한 논의
  3) 상호지향성 모델의 확장 적용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4. 연구결과
  1)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 객관적 일치도
  2) <연구문제 2>의 분석결과: 주관적 일치도
  3) <연구문제 3>의 분석결과: 정확도
 5.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부록: 광고 창의성 평가 실험 광고물
 ABSTRACT

저자정보

  • 김봉철 Kim, Bong Chul.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언론학 박사
  • 최명일 Choi, Myungil.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광고학 박사
  • 이진우 Lee, Jin Woo. 이아앤컴퍼니 대표, 광고홍보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