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ractical Theology, Pastoral Ministry, and Pastoral Counseling for Korean-American Marriage : Cultural, Pastoral, and Clinical Applications with Bowen’s Family System Theory

원문정보

한국인과 미국인 사이의 국제결혼을 위한 목회신학, 목회돌봄, 그리고 목회상담 : 보웬의 가족시스템 이론의 문화적, 목회적, 그리고 임상적 적용

Chul Woo S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ality, Koreans are one of the fastest growing ethnic groups in the United States. Recent Korean immigrants constitute the vast majority of the Korean American population. As a result, interracial marriag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s have increased, and have become a momentous issue in the Korean community. These couples face a harsh reality and have a difficult time adjusting to the differences in cultural norms and values. The entire paper is unified by frequent reference to the story of a Korean-American couple who has been married for twenty five years which forms the central clinical case for exploration. I believe that this case will provide a good example of a typical interracial couple’s marital problems that center in cultural differences, language barriers, and different family background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evaluate the case of a Korean-American couple utilizing Bowen’s approach to systems therapy. I want to critique its contribution as well as some perceived deficiencies in applying this framework to the context of Korean-American couples. If pastors and pastoral counselors can help interracial couples to accept, respect, and understand the partner’s cultural backgrounds, interracial marriage provides golden opportunities to understand both their own values and beliefs and learn from other’s values and cultures.

한국어

현실적으로 한국인들은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민족 중에 하나이다. 그 결과로 한국인들과 미국인들 사이의 국제결혼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이것이 한인 사회에 큰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국제결혼을 한 부부들은 문화적 배경의 차이와 가족배경에서 오는 차이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매서운 현실에 마주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결혼 한 지 25년 된 한국인 아내와 미국인 남편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국제결혼에 대한 임상적인 연구를 하였다. 이 임상연구는 문화적 차이, 언어의 장벽, 다른 가족배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제결혼 부부에 대한 좋은 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논문은 보웬의 시스템 이론을 사용해서 한국-미국인 국제결혼을 문화적인, 목회적인, 그리고 임상적인 관점으로 분석해 보았다. 특별히 이 논문은 보웬의 시스템 이론을 한국-미국인 국제결혼의 문맥 안에서 적용할 때, 그 장점과 단점에 대한 비평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회자들이나 목회상담학자들이 국제결혼을 준비하거나, 이미 결혼을 한 부부들이 서로의 배우자들의 문화적 배경을 받아들이고, 존중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면, 국제결혼은 자신의 문화를 더 잘 이해하고, 서로를 통해서 더 넓은 문화를 배울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Body
  1. Case Study: The Story of Vincent and Pokja
  2. Cultural Differences in Korean-American Marriage: General Cultural Backgrounds and Differences
  3.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with Interracial Marriages
  4. Cultural, Pastoral, and Clinical Applications: Features of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II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Chul Woo Son 손철우. Fuller Theological Seminar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