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마트워크 이용자의 업무와 비업무간 경계 강도 인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mart Workers’ Perception of the Boundary Strength Between Work and Nonwork

김용영, 오상조, 이희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mpanies as well as the Korean government show growing attention to the Smart Work which is enabled by the ongoing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Smart Work can be regarded as an extended version of telecommuting or distance work and defined as “working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utilizing ICTs.” Smart Work currently puts its emphasis on the work and life balance by changing the ways of working. Despite its emphasis on work and life balance, it is expected the boundaries between work and nonwork would blur, work and nonwork boundaries may become more permeable, and role conflicts would occur more times than before. To find ways to enhance work and life balance while escaping from expected conflicts in the context of Smart Work, we investigate the work and nonwork boundary strength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In the course, we consider asymmetries between the work and nonwork boundary strengths and bidirectional nature of work and nonwork permeability. We develop two research models having work and nonwork boundary strengths as respective dependent variables. We empirically found that work role identification and nonwork-to-work permeability had influences on the boundary strength at work and that work-to-nonwork permeability affected the boundary strength at nonwork. However, nonwork role identific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oundary strength at nonwork.

한국어

국가적인 그리고 기업적인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워크는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형태’로 이해된다. 즉, 정보기술 환경의 발전으로 가능해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인간친화적인 업무 방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일 할 수 있는 환경이 과연 일과 삶의 조화를 가져올 것인가 하는 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스마트워크를 통해 일과 삶의 경계가 점차 모호하게 되고, 이는 업무 영역의 업무가 아닌 영역으로의 침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에 형성된 경계 강도가 어떻게 결정되는 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 업무와 비업무간 경계 강도의 비대칭성과 영역간 침투의 양방향성을 고려하였다. 업무 경계의 강도와 비업무 경계의 강도 각각에 대한 상호 독립적인 모형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업무 역할 동일시와 비업무 영역의 업무 영역에 대한 침투가능성이 업무 영역의 경계 강도를, 업무 영역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침투가능성이 비업무 영역의 경계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비업무 역할 동일시의 비업무 영역 경계 강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 및 가설 설정
  2.1 경계 이론
  2.2 경계 강도
 Ⅲ. 연구 모델
 Ⅳ. 연구 방법론
  4.1 연구 대상
  4.2 측정 도구
 Ⅴ. 연구 결과
  5.1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2 경계 강도의 비대칭성 검증
  5.3 가설 검증
 Ⅵ.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Ⅶ. 연구의 시사점
 Ⅷ.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영 Yong-Young Kim. 건국대학교 경영경제학부 조교수
  • 오상조 Sangjo Oh. 동양미래대학교 e-비즈니스과 교수
  • 이희진 Heejin Lee.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