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6대 광역시의 도시브랜드에 함의된 조형요소와 정체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ormative Elements and Identity Implied in the Six City Brands in Korea

노주현, 임헌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a regional brand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opular issues, and many cities are attempting to increase the brand equity of their cities. Because of the circumstances, local governments are working to create new values with tangible or intangible assets from differentiated images and to foster sustainable competitiveness. In the case of Korea, most cities are actively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various city brand projects. Howev-er,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business has often led to the failure in drawing local people’s participation. As a result, many of them have ended as a temporary event to follow a trend of municipal administration. Noticing this problem,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identities implied in city brands by analyzing concepts which were represented in the formative elements of six city brands in Korea. As a result,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ve elements to create a city brand are divided into figurative and abstract themes. While figurative themes tend to emphasize the representative natural environments of a city, abstract themes are usually used to express the ideal concepts that local people share. The abstract themes can be interpreted as conceptual images refined by local people and administrators who are engaged in a project of city brand creation. Henc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se themes as the expression of a local identity. Second, while the six cities tried to create a design which can explicitly represent the identity of each city without relying on specific expressive techniques, they commonly did not succeed in emphasizing their distinctiv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Rather, unlike successful cases in other countries, the six cities tended to end in creating symbols, words or signatures which simply applied basic formative elements they already had. Third, in terms of realizing identities, most city brands pursued future-oriented images rather than traditional ones. The improvement of public friendliness and communal unity was also another popular goal in many cases. From this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cities that do not have existing landmarks such as representative spaces or formative structures should develop formative elements to create new images specifying lo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rategies of city brand design should primarily aim to revolutionarily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by exploring elements that construct the images of the local community and establishing its own identity based on the analysis.

한국어

최근 지역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각 도시마다 브랜드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움직임이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도 각 지자체의 특화된 유․무형 자산을 활용하여 다른 도시와 차별화되는 이미지를 확 립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시 브랜딩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거의 모든 도시에서 도시브랜드 전략을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이해가 부 족하여 타 도시와의 차별성도 없을 뿐만 아니라 지역 시민들에게 조차도 공감을 주지 못하는 형식적 도시행정의 한 트렌드로 전락한 경우도 많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브랜드에 내재된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6대 광역도시에서 구축한 도시브랜 드의 조형 요소에서 표출되는 개념적 구성인자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표현요소에 의한 분석은 분석 맵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도시를 대표할 수 있는 자연환경과 도시의 구성원인 사람이 주 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현방법에 의한 분석은 전체적인 형태에 있어 배경이 없는 자유로운 표현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를 이루는 선의 형태에 있어서는 규칙적이며 유기적인 이미지가 대부분이었다. 색상에 따른 분석은 난색계열 보다는 한색 계열의 컬러톤이 주를 이루었으며, 난색계열은 포인트 컬러로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현특성에 있어서는 상징적인 이미지를 전통과 결부시키기 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소재와 기법을 적용시 켜 표현하여 새로움과 발전가능성이 있는 이미지로 연결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브랜드 창출을 위한 디자인 표현 주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식으로 분류 할 수 있다. 그 하나는 도시의 대표적인 자연환경을 부각시킨 구상적인 표현 소재이며, 또 다른 하나는 도시의 구성원인 시민들이 갖고 있는 관념적 이미지 속성을 표출한 추상적인 소재이다. 이러한 표현요소들은 해당 지역사회 시민들과 도시브랜드 창출을 추진하 는 지자체 행정 실무자들의 의식 속에 정제된 관념적 이미지이며 아울러 지역 정체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둘째, 연구 대상 도시브랜드들은 대부분 특정한 표현 기법에 치우치지 않고 도시 정체성을 뚜렷하게 인지시킬 수 있 는 디자인을 창출하고자 노력하였음이 확인되었으나, 외국의 도시브랜드들과는 달리 디자인 차별성과 개성을 살리지 못하고 기본적인 조형성을 답습한 심볼마크와 단순한 형식의 워드마크 및 시그니쳐 마크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셋째, 정체성 구현의 측면에서 분석한 바로는 지역의 전통적 속성에 구애 받기보다는 미래지향적 도시 이미지 전략을 컨셉으로 한 브랜드가 대부분이었으며, 대외적인 친근감 제고와 지역사회의 화합을 지향한 도시브랜드도 다수 파악 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이미 랜드마크화 되어 있는 공간이나 조형물이 없는 도시의 경우 새로운 이미지 창출을 위 해 지역 이미지를 특화 시킬 수 있는 조형요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시브랜드 디자인 전략 수립에 있어서는 지역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도시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정체성 확립을 최우선 목표로 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문제 제기의 배경
  1.2. 연구의 범위 및 목적
 2. 개념 정의 및 이론적 고찰
  2.1. 도시브랜드의 정의
  2.2. 도시브랜드의 조형 요소
  2.3. 도시브랜드의 유형
 3. 도시브랜드의 정체성
  3.1. 도시브랜드의 정체성 도출
  3.2. 도시브랜드의 정체성 구성 요소 개발
 4. 세계 주요 도시브랜드의 조형 요소 분석
  4.1. 표현 요소 분석
  4.2. 표현 방법 분석
  4.3. 표현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노주현 Roh Joo Hyun. 경희대학교
  • 임헌혁 Im Hun Hyouk.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