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의과학

DXA를 이용한 전완부와 요추부 골밀도 검사의 보정계수 및 상관관계 연구

원문정보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Correction factor of BMD in Forearm and Lumbar with DXA

한만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orearm and the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bone mineral density values obtained through, T-score and Z-score correlation between numerical and calibration function obtained as a result of any one part to another part of the results is intended to infer. Groups of 66 patients, 11 patients by age 20-70 were composed of patients measured with the forearm and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T-score and Z-score of the survey for each of the three factors that correlated to assess the correlation Find the correction factor to obtain the relationship. Bone mineral density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 0.769 correction factor is Y = 1.541X + 0.133. T-score of correlation coefficient R = 0.768 and the correction factor Y = 0.715X - 0.4 is Z-scor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 0.635 correction factor Y = 0.751X - 0.162 It is regarded that there will be a clinical availability which can analogize the result of a part by using the result of the other part.

한국어

전완부와 요추부의 골밀도 검사를 통해 얻은 골밀도 값, T-score 와 Z-score수치간의 상관관계 및 보정함수 를 구해 어느 한 부위의 결과로서 다른 부위의 결과를 유추하는데 목적이 있다. 환자 66명은 연령별로 11명씩 20대 에서 70대까지 환자들로 구성하였고 측정된 전완부와 요추부의 골밀도와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세가지 사항 들에 대해 각각 상관관계가 있는지 평가하고 그 상관관계를 구하여 보정계수를 찾는다. 골밀도의 상관계수는 R=0.769 이고 보정계수 식은 Y=1.541X + 0.133 이다. T-score의 상관계수는 R=0.768 이고 보정계수식은 Y=0.715X - 0.4 이다. Z-score의 상관계수는 R=0.635 보정계수식은 Y=0.751X - 0.162 이다. 상관관계와 보정계수식를 통해 어 느 한 부위의 결과로서 다른 부위의 결과를 유추할 수 있는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결과
  1. 전완부와 요추부의 골밀도 값의 상관관계 및 보정함수
  2. 전완부와 요추부의 T-Score값의 상관관계 및 보정함수
  3. 전완부와 요추부의 Z-Score값의 상관관계 및 보정함수
 4. 고찰
 5.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한만석 Man-Seok Han.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