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의과학

주요 선진국의 군 건강관련 조사 실태 및 특성 : 미국,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urvey in Developed Countries : Focused on the Surveys of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김미선, 손민성, 최만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ilitary health survey from literature review on foreign military health surveys. The authors discuss backgrounds, objectives, participants, methods, contents, organizations involved, and cycles of foreign military health surveys from literature review from peer-reviewed journals as well as reports and documents collected from web-sites of governmental organizations. Common and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from foreign military health surveys. First, the military health surveys have evolved in phases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health risk factors. Second,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 is being emphasized. Third, cooperations and collaborations of governments,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agencies are important in order to ensure anonymity and expertise 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inally, health surveys are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To monitor and to promote health of military personnel, it is critical for Korea to establish th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s well as the need of military health surveys at the national level.

한국어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군인 건강조사 실태 및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군인 건강조사의 나아갈 방향 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인 건강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미국, 호주, 캐나다의 군인 건강조사 현황을 파악하 였다. 구체적으로 건강조사의 배경, 목적, 대상, 참가인원 수, 방법, 내용, 관련기관, 주기 등을 심층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주요 선진국의 군 건강 설문조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 건강조사는 건강 위험요인을 줄이는 방향 으로 단계적으로 발전해왔다. 둘째,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셋째, 외국의 군 건강조사는 정부의 협력뿐만 아니라 전문조사기관이나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서 익명성과 전문성을 보장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화를 통해 건강 설문조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군 보건의료 관 계자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군 건강조사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법적, 제도적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외국의 군 건강관련 조사의 형태와 최근의 동향
  3.1 미국
  3.2 호주
  3.3 캐나다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미선 Mi-Sun Kim.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손민성 Minsung Sohn.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최만규 Mankyu Choi.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고려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