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361 immigrants by Cheongju YullyangⅡLand Development Projects of Chungbuk,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Projects and analyzes the factor which affects their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The level of subjects’ residential satisfaction is 5.35(SD=1.33) which is average. By looking the level of related factors which affect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levels of facilities reg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gion are normal. The levels of housing environment and trust of development are lower than the normal. To figure out the factor which affects residential satisfaction, a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age of research subject, family type, residence period, physical status, owner or renter, housing environment region, facilities region, residential environment region, and trust of development among factors related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ffec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ways are suggested to improv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immigrants.
한국어
본 연구는 충북 청주 율량2지구 택지개발사업과 행정중심복합도시사업에 의한 이주민 361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주거만족도 수준은 5.35(SD=1.33)로 조사되어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수준을 살펴보면, 물리적 시설 영역(M=2.99)과 주거환경 영역(M=2.97)은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택환경 영역(M=2.84), 개발에 대한 신뢰 영역(M=2.77)은 보통수준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 가구형태, 거주 기간, 건강상태, 자가 여부, 주거만족도 관련 요인의 주택환경 영역, 물리적 시설 영역, 주거환경 영역, 개발에 대한 신뢰 영역 등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주민의 주거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연구도구
2.3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주요 특성
3.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3.3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3.4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