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ituated as a minority race in countries where they are living and as a marginal group in their motherland, Korean diaspora has recently made appearance in Korean literature. Having the consciousness of marginal people between two cultures, the migrants of the Korean race only have their aspects as victims and minority group highlighted. Park Chan-sun's novels, however,deserve some attention in that they hav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old fixated multicultural and diaspora novels and proposed directionality for them by newly interpreting them as culture itself and revealing their possibilities and values. In The Balhae-Style Garden, Alena, a third-generation descendent of Goryeo, incorporates the Ondol culture into the boiler and spreads it across Russia. In The Lamb Skewers of Garibong, Im Pa, a third-generation Korean-Chinese, creates a recipe to eliminate the foul smell of mutton in lamb skewers, a Chinese dish, at the restaurant in Garibong-dong. In A Fish Swimming through the Geographical Age, Hae -ran, a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gets a job at an aquarium thanks to her knowledge about Mesogobio tumensis, a fish in the Duman River. Korean diaspora, who is marginal people and aliens that mediate, connect, transform and reinvent the housing, food,and ecology cultures of two countries, plays valuable rol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s transnational and global talents rather than the object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ey can fall victim to discrimination and violence between their identity of their race and that of nomads, but they can also be a positive image of aliens mentioned by Simmel because aliens that constantly raise questions and try to quench their curiosity may come up with an idea of Ondolbang experiences based on their Gudeul gene, create a sauce recipe, or get a job of observing the ecology of a fish from the Duman River. In reality, however, migrant women are reproduced as the metaphor and representation of others. They are others in terms of race, gender, and social class. They are captured by the Oriental view of male Korean subjects for their mysterious image that conceal their identity, thus being sexually objectified. They either disappear or exist no more, revealing no irresponsibility, doubt,voice, and presence. Having grown up in an Islam culture, Alena is described as mysterious and confusing for the mixture of exotic face, the figure fit for Hanbok, and Russian costume. Bun-hee, who is a Korean-Chinese being suspected for the body damage common among migrant women that crossed a border, also has an image of sexually corrupted woman or a negative image along with Hae-ran, a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In those works, missing and absence represent the otherness and tragic life of women/migrants. The author set a Utopia called “Balhae-style garden” and tri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Korean race. It is reminded that the hanging scrolls and the reproductions in the folk village, which depict the members of the peaceful Korean community in the traditional Hanbok working on the farm together,dancing, and singing, are the restorations of what has been lost in Korean society and the life that the Korean diaspora should dream of and be oriented toward. Even though such an orientation should be reconsidered in that it can become an obstacle in the multicultural global age and fixate the hierarchy of social classes, it is worthwhile in that it ruminates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transference and Korean heritage. Park Chan- sun's literature overcomes the old multicultural and diaspora novels in a stalemate in that it reveals the possibilities and roles of Korean diaspora and also reproduces its limitations and realistic situations.
한국어
최근 거주국에서는 소수민족으로, 고국에서는 주변부로 위치 지어진 코리안 디아스포라에대한 관심이 우리 문학에 반영되고 있다. 이들을 재현한 소설에서 한민족이주자는 피해자, 희생자, 소수자적 측면만이 부각되면서 반복 재생산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박찬순 소설에서는 이주생활 속의 차별과 배제뿐만 아니라 문화 자체를 통한 경계인의 가능성과 역할을 묘사함으로써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발해풍의 정원>의 고려인 3세 알료나는 온돌체험방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한국보일러의 홍보·전파·수출을 도우며, <가리봉 양꼬치>의 조선족 3세 임파는중국음식 양뀀의 양고기 노린내를 제거하는 레시피를 개발하여 한국사회에 소개하고, <지질시대를 헤엄치는 물고기>의 탈북여성 해란은 두만강 물고기 자그사니에 대한 지식으로 수족관에 근무한다. 두 나라의 주거·음식·생태문화를 중개, 접속, 변형, 창출하는 경계인이자 이방인으로서의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트랜스내셔널한 글로벌 인재로 다문화사회에 기여하는 역할을 하는 자들이다. 이들은 민족적 정체성과 노마드적 정체성사이에서 폭력의 희생양으로 인식되지만 짐멜이 말하는 긍정적 이방인상으로서의 가능성을보여준다.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고 의문을 품는 이방인은 물려받은 구들유전자를 바탕으로온돌방 체험 아이디어나 양념레시피를 창안하며 두만강에서 이주한 물고기의 생태를 관찰하는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타자의 은유이자 타자의 표상으로 재현되며 민족적·젠더적·계급적 타자인 이주여성은 신비하고 정체를 알 수 없는 이미지로 서구화된 한국남성주체의 오리엔탈리즘적 시선에 포획되어 대상화되고 타자화된다. 무책임과 의심, 목소리와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는 서발턴은 사라지거나 범죄에 노출되며 스스로 범죄자가 되기도 한다. 이슬람 문화권에서 성장한 알료나는 이국적인 얼굴과 한복이 어울리는 체형, 러시아 의상이 혼효된 신비스럽고 혼돈스러운 모습으로, 탈국경한 이주여성에 덧씌어진 몸의 훼손을 의심받는조선족 출신 분희와 탈북여성 해란도 성적으로 타락하거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작품 속의 실종과 부재는 이주자/여성의 타자성과 비극적 삶을 대변해 준다. 또한 작가는 ‘발해풍의 정원’이라는 유토피아를 상정하여 한민족 정체성을 복원하고자 한다. 전통의상인 한복을입은 공동체구성원이 함께 농사를 짓고 춤추고 노래하는 태평성대한 발해문화야말로 우리 사회가 잃어버린 것에 대한 복원과 한민족 디아스포라가 꿈꾸고 지향해야할 삶의 형태임을 기억해 낸다. 이러한 지향점은 다문화적 글로벌시대에 걸림돌이 될 수 있고 계급적 층위를 고착한다는 점에서 재고되어야 하지만 문화전수와 한민족전통에 대한 의미를 되새긴다는 점에서가치를 지닌다. 박찬순 문학은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가능성과 역할을 보여주는 동시에 비참하고 고통스러운 현실상황도 함께 재현한다는 점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삶을 그리고 있다.
목차
1. 머리말
2. 문화중개자로서의 경계인 역할과 가능성
3. 타자의 은유로서의 이주자/여성 부재 및 실종
4. ‘발해풍의 정원’과 한민족정체성의 복원
5. 박찬순 코리안 디아스포라문학의 의미와 한계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