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을화>에 나타난 ‘자기실현’ 구현 양상과 그 의미

원문정보

‘Self-realization’ aspect and the significance in <Eulhwa>

은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hamanistic elements in are traditional Korean archetypes beyond any folk religion, tradition or cultural heritage. These elements reflect unconsciousness that one faces while seeking self-creation, self-transcendence and self-realization and it is revealed as a realization mechanism for ‘self-realization’. In terms of Jung's analytic psychology, a spirit-possessed shaman Eulhwa's becoming of a shaman indicates the primitive form of realization. Because it is a process of experiencing death of oneself through struggle when entering the world of shaman, contact with the spirit and transformation into a full- fledge shaman; it is a process of integration of overall personality by awakening the unconsciousness. Eulhwa's becoming of shaman is a process of essential self-search by integration of oneself through self-overcoming and facing ‘self’. Shamanism visualized in is a realization mechanism promoting wisdom to overcome crisis and new future for self-realization when facing crisis and the intrinsic archetype. The author identifies the source of a problem and suggests solutions in his work. It means the problem and solutions can be presented by insight of the inner world. The reason why one should notice shamanism visualized in is that it suggests how to create and realize new self by being aware of the crisis when we are facing it. Eulhwa, the main character in , is a spirit-possessed shaman who comforts people in need, redeems people from their problems and leads them to the way of finding true self. The author suggests that shamanism is the archetype to find the foundation of humanism and self-salvation through shamanistic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shamanism in Kim Donglee's novel is the contact point of finding one's archetype and suggests one is reaching for self-realization through the archetype.

한국어

<을화>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요소는 토속신앙 또는 전통이나 문화유산의 산물을 초월하는 그 이상의 의미로 우리의 고유한 원형이다. 또한 자기창조, 자기초월, 자기실현을 추구할때 직면하게 되는 무의식을 반영하며 ‘ 자기실현’의 실현기제로 드러난다. 융의 분석심리학적측면으로 볼 때 강신무인 을화의 입무과정은 자기실현 의 원시적 형태를 의미한다. 이것은 입무자가 입무의 고통을 통해 자아의 죽음을 체험하고 신령과 접촉하여 영력을 갖춘 신성한 몸으로 새롭게 탈바꿈하는 과정으로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전체적 인격으로 통합하는 과 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을화의 입무과정은 ‘자기’를 만나는 접촉점으로 자기극복을 통해 자기전체를 통합하여 본질적인 자기를 찾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을화>에 형상화된 샤머니즘은 우리의 집단무의식으로 우리가 위기에 처했을 때, 고유한원형에 직면하여 개 개인이 자기를 인식하고 실현하는 기회로 삼아 위기를 지혜롭게 극복하고새로운 미래를 열어가야 할 것을 촉 구하는 실현기제이다. 이것은 작가가 작품을 통해 지향하는 문제의 근원과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으로써 문제 의 근원과 해결책이 내면세계에 대한 통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을화>에 형상화된 샤 머니즘에 주목해야 하는이유는 우리가 위기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인식하고 자각하여 새로운 자기를 창조하 고 실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을화>의 주인공 을화는 강신무로서 사람을 구원하고 위로하며 고통받는 사람들의 문제를 대속하면서 그들 을 진정한 자기 찾기로 인도하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샤머니즘의 특성을통해서 샤머니즘이 자신의 근원을 찾 고, 스스로 구원할 수 있도록 이끄는 원형이라고 제시한다. 즉 김동리의 작품에 나타난 샤머니즘은 자신의 원 형을 찾는 접촉점으로 원형을 통해 자기를 실현하도록 이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샤머니즘을 통한 무의식의 성찰과 ‘자기실현’ 시도
 3.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자기실현’
 4. 이타적인 세계로서의 ‘자기실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은미숙 Eun, Mi-Sook. 아주대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