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s the biggest denomination in Korea.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education. The most prominent example of that influence was the introduction of a modern western education system in Korea. The first Presbyterian missionary an ordained minister, H. G Underwood, started to establish primary schools,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colleges. Although some colleague missionaries objected to educationoriented mission work, Underwood emphasized education. Therefore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established man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everance Medical School, Union Christian College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Korean Presbyterians broadened the education field. After the Korean War they founded sev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 are a great number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belong to the Presbyterian Church to its schism. There is a need for more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better reputations. Perhaps the greatest influence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on education was the revival of Hangeul which was invented in the 15th century by King Sejong, but not widely used for several centuries. When Underwood translated the Bible into Korean, he used Hangeul.
한국어
한국 장로교회는 한국 최고 최대의 교파로서 한국 교육에 끼친 영향도 가장 크다. 한국 장로교회의 최초의 선교사 언더우드는 한글을 통하여 성경의 번역과 기타 사용으로 한글을 살리고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 시켰다. 그는 서구식초중등학교를 세우고 발전시켜 마침내 대학 까지 세워 한국근대 교육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의 교육 철학은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들도 수학케 하였다. 특히 그가 처음 설립한 경신학교는 흔히 알려진 대로 감리교의 아펜젤러가 세운 배재학당 보다 먼저 설립되었다. 언더우드가 처음학교를 세웠을 때 학생 모집이 힘들어 고아들을 모아 교육을 실시하는데서 부터 출발하여 나중에는 대학교육 까지 하였다. 한국 장로교회는 서구식 근대학교 소개와 정착에 앞장섰다. 또 서구식 근대 교육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변화시켰다. 많은 중고등학교를 건립하여 한국교육의 지평을 넓혔다. 더 나아가서 한국 장로교회는 세브란스 의학교, 숭실대학, 연희전문학교도 먼저 설립하여 고등교육에도 선두주자가 되었다. 장로교회는 건국 후에도 고등교육에 많은 역량을 기우려 가장 많은 수의고등교육기관을 두게 되었다. 초기에 교단적 차원에서 교육 선교에 대한 의견의 차이로 교육 선교활동에 최대한의 지원을 못한 것은 학교 발전에 지장을 초래했고 고등교육 기관 창립에 지연을 가져 왔다. 건국 후에는 장로교회의 분열에 따라 각 교단신학교가 종합대학으로 발전되어 수적 우위를 점하게 되었으나 문제는 질적인 면에서 최고 수준의 대학이 되지 못한 것이었다. 앞으로의 과제는 국내는 물론세계적인 좋은 기독교대학을 건립하는 데 힘과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근대 학교교육의 선구자: 한말과 일제하 장로교회의 초중등교육활동
1. 언더우드학당 경신학교 설립
2. 서울의 정신여학교
3. 평양에서의 숭실학교와 숭의여학교
4. 지방의 장로교학교
III. 한국고등교육의 효시와 선구로서의 영향
1. 제중원의학교-세브란스의학교
2. 숭실대학
3. 조선기독대학-연희전문-연세대학교
4. 피어슨 기념성경학교
III. 총독부 정책에 대한 대응
IV. 한국교육에 끼친 제반 영향
1. 한글사용
2. 근대학문의 도입과 서구식 신교육제도의 淵源
3. 서구 스포츠의 도입
4. 국학연구
5. 신분철폐, 남녀평등 및 교육의 기회균등 정신 구현
6. 고등교육의 발전에 기여
7. 자조와 자주정신 배양
8. 기타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