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석기시대 대천리식 집자리의 성립과정에 대한 소고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aecheon-ri Type Dwellings of the Neolithic Period

구자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eolithic dwellings of the inland region of Chungcheong Province, which have a unique structure and distinctive location within the landscape, are referred to as the ‘Daecheon-ri type’. In recent times, several dwelling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central-western coastal region which are of the same time period as, or are slightly earlier than, the inland Daecheon-ri type dwellings. This recently discovered material therefore makes it possible to consider the process by which the Daecheon-ri type dwellings came to be established. Daecheon-ri type dwellings are located close to Unseo-dong and would have been influenced the dwellings of this site. In the central-western coastal region,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establishment of large settlements and the appearance of Daecheon-ri type dwellings at such settlements. In addition, some of the Daecheon-ri type dwellings can be seen co-existing with single dwelling settlements. During this process, the planar shape of dwellings changed from square to rectangular and their size grew as well. At the same time, typical Dacheon-ri type dwellings were established in the Chungcheong area south of the Charyeong Mountain Range. In addition, the size and partitioning of the interior space came to be formalized. The interior dwelling space can be divided into the living space and the attached space.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attached space vis-à-vis the living space can be observed. In addition, single dwelling settlements start to appear. This is one of characteristics of Dacheon-ri type dwellings.

한국어

충청내륙지역에서는 집자리의 구조와 입지가 주변지역과 비교해 매우 독특한 특징의 신석기시대 집자리가 조 사되고 있어 ‘대천리식 집자리’로 불리고 있다. 충청내륙지역은 대천리식 집자리 외에 다른 패턴의 집자리 조 사가 매우 드물며, 모두 신석기시대 중기에 집중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중부서해안지역에서 대천리식 집자리보다 이른 시기 혹은 동시기의 집자리가 다수 조사되고 있 으며, 그 중에서 대천리식 집자리와 구조가 유사한 집자리의 조사예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통해 대천리식 집 자리의 성립과정을 추론해 보고자 한다. 대천리식 집자리는 지역적으로 세분하면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충청내륙지역과 다른 하나는 중부서해안지역이다. 시간적 위치는 대천리식 집자리의 방사성탄소연대측 정값과 출토유물을 통해 보면 기원전 3,500~3,000년에 해당하며 필자의 Ⅱ기에 해당한다. 최근 조사된 대천리 식 집자리에서는 다양한 패턴의 집자리가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금강 중·상류지역을 중심으로 전형적 인 대천리식 집자리가 분포하면서 1차 거점지역을 마련하였고, 이후 대천리식 집자리는 주변지역으로 확대되 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 필자의 기존 견해에 대해 재고가 필요하게 되었음을 말해준다. 결국 대천리식 집자리와 관련된 유적의 집자리 분석을 통해 대천리식 집자리는 운서동식 집자리에서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으며, 대규모 마을을 이루던 것이 중부서해안지역에서 대천리식 집자리의 특징을 갖춰가기 시 작하고, 일부 유적에서는 신길동식 집자리와 공존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집자 리는 방형에서 장방형으로 평면형태가 변화되고 규모도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동시에 차령산맥 남쪽의 충청내륙지역에서는 전형적인 대천리식 집자리가 자리를 잡게 되며, 규모와 내부공간분할은 좀 더 정형화되 어 간다. 집자리의 내부공간분할은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부속공간이 생활공간 대비 비 율과 면적이 증가하는 양상이 관찰된다. 이와 함께 대천리식 집자리의 특징 중 하나인 단독가옥의 형태로 운 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대천리식 집자리의 시ㆍ공간적 위치
 III. 대천리식 집자리의 성립과정
  1. 집자리이 구조와 특징
  2. 집자리의 전개양상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자진 Koo Jajin. 한국토지주택공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