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내용학 >>

한국 청소년 도덕성 검사도구 연구(2차년도) - 표준화 및 유형화를 위한 기초연구 -

원문정보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Youth Moral Test - Standardization of the test and Categorization of Moral Type -

이승하, 김영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oject to develop an instrument to examine Korean youth morality, conducted from 2011 to 2012. The KYMT is based on James Rest's four component model: moral sensitivity, moral reasoning,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The first draft of the instrument developed in 2011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in 2012. This study aimed to standardize the KYMT and categorize an individual's moral type. The KMYT was applied to 6216 middle school students in national level. In results, standardized norms were indicated by each component and 6 categories were made. Fewer students had higher scores in moral judgment whereas majority of responses were located in 4-6 points in 7 likert scale in moral sensitivity, motivation, and character. Most participants had one dominant component and few participants were dominant across 4 components.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f mo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youth and suggests practical usage for moral education and furthur studies.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도덕성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검사를 개발하는 과제로써 2011년부터 2012년까 지 2년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James Rest의 4구성요소 이론에 기초하여 도덕적 감수성, 도덕적 동 기화, 도덕적 품성화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도덕적 판단력은 기존의 KDIT로 구성하였다. 2012년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에 개발된 문항을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통해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논문은 개발된 검사도구를 표준화, 유형화하기 위한 것이다. 전국단위 본 조사를 통해 나타난 한 국 청소년의 도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6216명의 청소년의 표준화결과, 도덕적 감수성, 동기화, 품성화의 경우 7점 척도 중 4-6점대에 해당하는 점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판단력의 경우 점 수가 올라갈수록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유형화의 분석대상이 된 5729명의 청소년 중 모든 도덕적 요소가 높거나 낮은 유형은 극히 적었으며, 특정한 한 요소가 지배적인 유형이 대부분이었 다. 특히 판단력이 우세한 경우가 가장 빈번했다. 본 연구는 검사도구의 표준화와 유형화를 통해, 그 활용도를 높이고, 교육현장에서 도덕적 특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인성관련 검사도구를 개발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도구의 지속적인 보완과 활용방안 및 후속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Rest 의 4구성 모형
  2. 4구성요소간의 관계
  3. 2차년도 청소년 도덕성 검사도구
  4. Rest의 4구성모형에 기반한 청소년 도덕성 유형화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표준화 규준 작성
  2. 청소년 도덕성의 유형화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하 Lee, Seung-ha.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김영한 Kim, Young-h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