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특성 관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Family Resilience Based on Their Response Characteristics in A Korean Version of Kinetic Family Drawing

현은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family resil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etic Family Drawing(KFD) response completed by 348 Korean university students (149 male and 199 female) in the G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resilience leve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 Second, the family resilience (family strength/family resource) level also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The characteristics of the KFD respon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gure action, figur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where the female students drew more perfect faces and more friendly facial expression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FD response in relation to family resilienc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gure action, figur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The high family resilience group drew more friendly facial expressions and larger mother figures and self-figures when compared with the low family resilience group. Fourth, the perception of family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igure action and subdomain dynamics of the KFD, and with the whole KFD. Therefore,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KFD is a useful tool for the selection and estimation of family resilience.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 탄력성과 가족의 역동성 및 심리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 동적가족화의 반응특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G지역 대학생 348명(남:149명/여:199명)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 질문지와 한국판 동적가족화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에서 가족탄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 가족탄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가족탄력성(가족강점/가족자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한국판 동적 가족화 반응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물상의 행위와 특징, 역동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여자가 남자보다 얼굴․눈의 완성도가 높고, 얼굴표정이 우호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에 따른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물상의 행위와 특징, 역동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가족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인물상의 얼굴표정을 우호적으로, 어머니상과 자기상을 더 크게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탄력성은 한국판 동적가족화의 하위영역인 인물상의 행위와 역동성, 동적가족화 전체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동적가족화는 가족탄력성의 예측, 선별도구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의 일반적 경향
  2.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가족탄력성,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의 차이
  3.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에 따른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의 차이
  4.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 특성간의 관계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현은민 Hyun, Eun Min. 안동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