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민족과 민족주의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방식-족류-상징주의(Ethno-symbolism)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Historical Approach to Nations and Nationalism-Ethno-symbolism by Anthony D. Smith-

김지욱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31집 2013.12 pp.357-41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ed to point out the vital roles of history and historian in the study of nation and nationalism, and consider the main contents and arguments of ethno -symbolism that become mainstream in the related field through criticizing the modernism in the terms of ethno-symbolism and examining the current of Smith’s study. In the last 30 years, modernism was much in fashion in the study of nation and nationalism. The term of modernism was commonly used to all approaches that the raise of nations and nationalisms limited the modern era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discontinuity. Modernism, however, was narrow and selective in its historical evidences, because it has slighted the historical continuity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period, which is the key in the study of nations and nationalism. This is Anthony D, Smith who raised the objection to modernism and founded the new approach to nations and nationalisms emphasizing the historical continuity. Smith’s approach, named by ethno-symbolism, conceded that nation and nationalism is the phenomenon of modernity, but what is matters is the cultural and symbolic continuity between ethnie in pre-modern and nation in modern, which should study in la longue durée. Only by this study, we can explain why many of ethnic and national struggles were raised in modern period, and the sentiment and allegiance of many populations that were prepared to sacrificed themselves for one’s nation. Moreover, ethno-symbolism revealed the definite concepts of ethnie in premodern period, as well as nation and nationalism in modern, and hence we could regard the nation and ethnie as a social entity. Especially, in the ethno-symbolism history was emphasized in the study of nation and nationalism. Anthony Smith supplied his approach through the historical view of the vast evidences from West to Africa and Asia, and from ancient to modern. The old historian, liberalist, conversative, marxist, was felt to need to study the nationalism, and they made a commitment to define and categorize the nationalism. In this way, Anthony Smith recently restored the vital roles of history and historian in the study of nations and nationalism. Smith accomplished a remarkable feat in this field publishing the many related books, starting from the progress of adopting and criticizing the theory of Ernest Gellner. While Gellner focused the radical transition from premodern to modern, and economic and political aspects, Smith emphasized the continuity between ethnie in premodern period and nations in modern era. Ethno-symbolism make us doubt the post-modernist claim that nations and nationalism are soon dismantled and transferred. Because nation and national identity was created by historical memories, values, symbolisms and meanings, they cannot be simply transferred by sup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EU, UN.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족류-상징주의를 통하여 근대주의를 비판하고 스미스의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의 흐름을 짚어봄으로써,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에서 역사학과 역사가들 이 갖는 중요성을 살펴보고, 오늘날 관련 연구 분야에서 주류가 된 족류-상징주의의 주요 내용과 논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에서는 근대주의가 크게 유행했다. 근대주의는 기본적으로 전근대와 근대 사이의 역사적 단절성을 기반으로 하여, 민족과 민족주 의의 출현을 근대 시기로 한정짓고자 한 접근방식을 통칭하는 어휘이다. 하지만 근대주의는 근대 민족과 민족주의의 연구에서 핵심적인 전근대와의 역사적 연속성을 경 시함으로써, 그 설명이 제한적이고 사례들 또한 선택적이라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근대주의의 역사적 단절성에 이론을 제기하면서 역사적 연속성을 바탕으로 민 족과 민족주의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인물이 앤서니 스미스이다. 족류-상징주의로 명명되는 앤서니 스미스의 접근방식은 민족과 민족주의가 근대적인 현상임을 인정하면서도,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에서는 전근대와 근대 사이의 연속성 , 즉 장기지속적인 관점을 통하여, 민족이 보이는 문화적ㆍ상징적 연속성을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한 연구를 통하여서만이 왜 근대 세계에도 아직 수많은 족류적ㆍ민족적 분쟁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그리고 자신들의 민족을 위하여 기꺼이 희생하고자 하는 많은 인민들의 감정과 충성심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 라 족류-상징주의는 근대주의가 보여주지 못한 민족과 민족주의의 명시적 개념정의, 더불어 전근대의 족류라는 공동체의 개념정의를 제시함으로서, 전근대와 근대 시기 의 족류와 민족을 분명한 하나의 사회적 실재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족류-상징주의에서는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에서 역사학이 갖는 중요한 역할이 강조된다. 앤서니 스미스는 서유럽의 역사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사와, 고대사에서 근대사에 이르는 장기적인 역사적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접근방식을 입증하고 있다. 자유주의적, 보수주의적, 맑스주의적인 근대의 구 역사가들은 민족주의를 중요한 하나의 화두로 설정하면서, 민족주의를 정의하고 유형화하는데 헌신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앤서니 스미스는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에서 갖 는 역사학의 중요한 위치를 근자에 다시금 회복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스미스의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는 자신의 스승인 겔러의 연구를 수용하고 비판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어, 40여 년 간의 다양한 저작들을 발표하며 관련 연구 분야에서 단연 돋보이는 업적을 이루었다. 겔러가 민족과 민족주의를 근대로의 이행과정에서,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측면을 강조했다면, 스미스는 전근대 시기 존재한 족류 공동체와 근 대 민족 사이의 연속성을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앤서니 스미스의 족류 상징주의는 근자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장과 같이, 민족과 민족주의가 곧 해체될 것이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하여 회의감을 갖도록 만들어 준다. 민족과 민족적 정체성은 고대로까지 이어지는 역사적 연속성을 바탕으로 생성되는 것이므로, 그러한 것들을 EU나 UN과 같은 초민족적인 기구들이 쉽사리 대체할 수 없는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민족주의 연구와 역사학
 Ⅲ.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의 패러다임
  1. 연구의 쟁점과 기존의 논의
  2. 근대주의(Modernism)의 전개와 족류-상징주의적 비판
 Ⅳ. 족류-상징주의의 ‘족류(ethnie, 族類)’와 민족 연구
  1. 족류 연구와 민족의 개념정의
  2. 민족의 형성 과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욱 Kim, Ji Wook. 숭실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