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Choy Sun Wha was one of Korean New Women and Intellectuals graduating from Jeongeui girls’ high common school and Ewha Woman’s College. She was a professional woman as a teacher at Ewha and was supposed to go study abroad. But she met Yang Woo Jo, a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working at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China. She determined to marry him and went to China in 1937. Right after their marriage,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in 1937. So she and her husband joined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family and went to refuge away from Japanese army. Although the journey was so hard and anxious as an example of air raid evacuation, she thought it was the progres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he gave birth to two daughters in China. She and her husband taken modern higher education were parenting in new modern way like taking a picture at family members’ anniversary, getting a preventive injection, taking a anthelmintic and measuring their children’s height. Also she was concerned about the issue of children’ s education like Korean language and writing. She wanted to rear her children as a true Korean getting ready for returning home at Korean Independence day. Meanwhile, it was growing for Korean women to participate in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She joined Korean national party in 1939 and Korean independence party in 1940. Also she organized Korean Revolutionary Women’s Alliance and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and became active as a committee, member and executive of them. She thought Korean women including housewives have to work on positive lines and contribute to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Korean women’s organization. As the executive of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she focused on information activities and public relations exercise for unifying and supporting of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women through broadcasting and letter. She had belief and hope for Korean independence and tried to impart a meaning to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family including her. In my opinion, the most impressive part was her historical consciousness comparing their independence movement to stone steps supporting one another, making foundation and keeping them up.
한국어
최선화는 식민지시기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평양)와 이화여자전문학교 문과(영문과)를 졸업한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자 이화에서 교사로 활동하며 미국유학을 계획하고 있던 전문직 신여성이었다. 그러나 재중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일하고 있었던 양우조를 만나 결혼과 중국에서의 새 삶을 선택하면서 그때까지와는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되었다. 우선 최선화는 중국으로 건너가기 전 양우조의 부탁으로 국내에 있던 독립운동 지도자 안창호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경험을 했다. 그리고 중국에 건너온 최선화는 흥사 단에 입단했다. 최선화의 삶은 양우조와의 결혼과 중국에서의 삶을 선택할 때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독립운동과 밀접한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최선화가 양우조와의 결혼을 위해 중국에 건너갔을 때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직전이었다. 중일전쟁 발발 후 최선화와 양우조는 임정가족에 합류해 임정과 행동을 같이 했다. 임정과 그 가족은 중국 본토에 침략한 일본군을 피해 중화민국임시정부의 정착지인 중경을 향해 이동하는 여정에 올랐다. 최선화에게 이는 첫 아이를 낳은 지 몇 일 만에 이동을 거듭하는 고난의 행군이었다. 게다가 더욱 불안했던 것은 일본군의 공습과 폭격이었다. 임정가족과 함께 중경에 정착한 최선화는 둘째 아이를 낳은 후 빈번 하고 장시간의 공습대피로 몸조리를 잘 하지 못해 몸에 병이 들어 수술을 수차례나 해야 했고 병세에 차도가 없이 우울과 절망에 빠지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최선화는 독립이 되어 고국에 돌아갈 경우를 염두에 두고 아이들의 교육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중국에 살면서 중국어에 익숙하게 마련인 아이들이 한글과 우리말도 능숙하게 구사해 한국인으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를 바라며 가정교육을 실시하고 한글학교에 보냈다. 임정에 여성의 참여가 증가하면서 최선화 또한 한국국민당 당원, 한국독립당 당원, 한국혁명여성동맹 결성준비위원 및 회원으로 활동했다. 이 과정에서 최선화는 임정가 족의 여성들이 아이를 양육하고 한글학교를 운영하며 독립운동가인 남편을 내조하는 일에서 나아가 독립운동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길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1940년 한국혁명여성동맹을 결성했고, 1943년에는 한국애국부인회 재건준비위원 및 서무주임(총무)으로 활동했다. 한국애국부인회 간부로서 최선화는 광파방송 및 미국 교포사회에 보내는 편지를 통해 홍보활동에 주력하며 국내외 한국여성의 단결과 후원을 촉구했다. 기약 없는 중국망명생활 가운데서도 최선화는 독립국가 건설을 염원하며 임정 요인과 가족의 독립운동과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 이는 자신이 선택한 삶에 확신과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이기도 했다. 최선화는 임정의 지도자 이동녕을 비롯한 독립운동가들과 자신의 삶과 역할을 끊임없이 이어지는 돌계단에 비유하며 받침돌의 역할을 자처했다. 지식인이자 독립운동가로서 그의 역사의식과 사명감이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목차
Ⅱ. 임시정부가족에의 합류와 망명생활
Ⅲ. 독립운동의 전개와 현실인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