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신장벽전의 제작기법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thods used to make the Green-glazed Tile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김동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Green-glazed Tile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known to have been made by a Silla's great monk artist named Yangji and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in Gyeongju. The tiles consisted of three types, A, B and C, and were installed in order around the base of a wooden pagoda. In other words, the square base of the wooden pagoda had 6 tiles on one side and, hence, 24 tiles in total. The study presents illustrations showing the restored wall tiles divided in three types. The illustrations of the newly restored tiles provide new information of some details of the guardians carved on the tiles such as an arrowhead on the tiles of Type B and a helmet ornament on the tiles of Type C. The study also deals with the techniques used to make green-glazed wall tiles in three types. All the tiles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via filling clay in the molds of double structure, inner and outer molds. Some tiles contain finger marks mad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howing that the clay was pressed into the mold. Archaeologists discovered marks of finger tips pressed on the tiles, but found no mold that can tell the material of which it was made. Archaeologists also found after the excavation of the green-glazed tiles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tiles of the three types. Makers of the Type A tiles, for instance, added more clay to the corners and made gently curved surfaces due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niche and the decorative part. The tiles of the rest two types, however, feature, in addition to the gentle curves of the area connecting the niche and the decorative part, larger niches and smaller differences in height between the two largely due to the trails of the veil robe worn by the guardian deities. Naturally, the gentle curves of the Type B and C tiles helped make smoother surfaces without adding more clay. The question remains, however, why unlike the Type B and C tiles the Type A tiles have no robe trails, causing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niches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The last part of the study is focused on comparing the green-glazed wall tiles of the Sacheonwangsa Temple and the other wall tiles excavated in the Gyeongju area so far. The wall tiles discovered at the Seokjangsa Temple site have often be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to find out if the two were made by using the same molds. Researchers, however, have found no two Seokjangsa tiles were made from the same mold. They are puzzled by a lack of evidence to show that the use of molds is to make multiple tiles of the same type. Meanwhile, some wall tiles unearthed at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feature the same form, clearly revealing that they were made with the same molds. These tiles seem to have been produced before the green-glazed tiles from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on the wall tiles discovered from the sites of three different temples, Hwangnyongsa, Seokjangsa and Sacheonwangsa, to have a clearer picture on the development of the decorative wall tiles of Silla.

한국어

본고에서는 사천왕사에서 출토된 양지스님의 작품인 녹유신장벽전의 출토상 황을 검토하였다. 3종류의 벽전은 목탑 기단부에 A-B-C형 차례대로 배치되었다. 그리고 목탑 기단 한 면에 6개체가 있고, 하나의 목탑에 24개체가 사용되었다. 한 편 본 논고에서는 3종류의 벽전에 대한 복원도를 제시하였다. 특히 새로운 복원 도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B형의 화살 촉 부분과 C형 신장상 투구 상부 장식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다음은 세 유형의 녹유벽전 제작기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먼저 세 유형 벽전 모 두 2중 구조(내틀과 외틀)로 된 분할틀에 점토를 충전한 것으로 추정한다. 아울러 점토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으로 점토를 눌러 압력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출토된 벽전의 단면에서 이러한 작업 흔적(지두흔: 손가락 흔적)들이 관찰되 었다. 하지만 발굴조사에서 범(틀)을 찾지 못하여, 아쉽게도 범의 재료는 확답하 기 힘들다. 또한 출토된 녹유벽전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A형과 BㆍC형 벽전이 구조적으 로나, 제작기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먼저 A형 벽전은 감실 부와 문양부가 급격한 높이 차이 때문에, 모서리 부분에 흙으로 보충하여 곡면을 부드럽게 다듬었다. 하지만 BㆍC형은 신장상(神將像)의 천의자락 때문에, 감실 이 A형보다 넓어지고, 감실부와 문양부의 높이 차이도 작으며, 감실부와 문양부 의 연결부분이 완만한 곡면으로 처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ㆍC형은 완 만한 곡면이었기 때문에 보토(흙을 보충하는 거) 없이도 표면을 다듬을 수 있었 다. 하지만 왜 A형 신장상에는 천의자락이 없고, BㆍC형 신장상에만 천의자락을 표현하여 감실의 구조와 제작기법을 달리했는지는 앞으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의 제작기법과 신라와전의 제작기법을 비 교ㆍ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녹유신장벽전의 제작기법은 신라 瓦塼 에서 이미 활용되던 제작술에 조금 더 발전한 단계이지, 전혀 새로운 기술의 도입 은 아닌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적어도 제작기법상으로 살펴보았을 때, 사천왕 사 녹유신장벽전을 ‘西域的’ 혹은 ‘異國的’이라고 부르는 것은 맞지 않다. 아울러 벽전의 제작자로 알려진 양지스님 역시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기 보다는 이미 신라에 보급된 瓦塼 제작기술을 기반으로 발전시킨 匠人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사천왕사 목탑지 녹유신장벽전의 현황
  1. 녹유신장벽전의 출토 현황
  2. 녹유신장벽전의 형상분석
 Ⅲ. 녹유신장벽전의 제작기법 검토
  1. A형 벽전의 제작기법
  2. BㆍC형 벽전의 제작기법
 Ⅳ. 녹유신장벽전과 신라와전의 제작기법 비교
  1. 틀(范) 사용
  2. 점토 충전과 배면 조정
  3. 補土 및 수정작업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하 Kim Dongha.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