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중등 교사들의 교장직 선택 요인 분석

원문정보

What Motivates Korean Teachers to become Principals in Publ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김이경, 김미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incipal position is characterized with those features that can be found in other professions, while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more often than not, distinguish its attractiveness from other profession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major reasons by which teachers are attracted to principal position, as they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aiming at reengineering principal position and dutie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motivation of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become principals. A total of 1,465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 team, in which they were asked to rate the importance of 36 factors influencing their choice of principalship as a career. Factor analysis revealed seven categories of motivating factors. Data analysis showed that extrinsic factors played more important roles than intrinsic factors in making decisions to become principals. While annexed benefits and improved working conditions turned out to be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monetary compensation and respect from the education community were the least influencing facto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degree and more years of experience were likely to perceive the principal position more favorably. Based on research findings, a few policy implications concerning redesigning principal position and teacher career development were suggested.

한국어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교장직은 교사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고 승진경쟁이 치열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초․중등학교 교사들이 교장직을 선택하도록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장직 선택 요인을 분류하고, 우리나라 교사들의 교장직 선택 요인들 간 상대적 수준 및 교장직 선택 요인이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학력, 직위, 교직경력, 근무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교장직을 선택하도록 하는 요인은 경제적 보상, 근무여건, 이차적 혜택, 조직구조 및 권한 등 네 가지 외재적 요인과, 개인적․전문적 성장, 존경과 지지, 학교변화 및 영향력 등 세 가지 내재적 요인을 합한 총 7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교장직 선택 요인들 간의 상대적 수준을 비교한 결과, 이차적 혜택과 근무여건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제적 보상 및 존경과 지지는 가장 낮았고, 전체적으로 볼 때, 외재적 요인이 내재적 요인에 비해 더 강한 선택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분석에서는 대체적으로 초등학교 교사, 부장교사, 고학력자, 고경력자인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교장직 선택 요인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발견점을 토대로 우리나라 교장직의 재설계 및 교사들의 경력개발에 주는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장의 역할과 직무
  2. 교장직에 대한 인식
  3. 직업 선택 이론과 교장직 선택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및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교장직 선택 요인의 분석
  2. 교장직 선택 요인들 간 상대적 수준 분석
  3.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이경 Ee-gyeong Kim. 중앙대학교
  • 김미정 Mi-jung Kim.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