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관한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인식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Regarding Children's Singing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이승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prototype of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understanding about children's singing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44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sorting the 29-items of the Q- samples. After analysing the individual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s, They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ype 1: Song as instinctive language and having children's story, so named because thes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children song out naturally, spontaneously and instinctively. Type 2: Song as sing-a-new-song activity, so named because these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that sing-a-new-song activity were commonplace music activities. Type 3: Song as used means for method of learning and attention concentration, so named because these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that song were available means for learning and concentrating attention. Type 4: Song as were connected with play theme in play context, so named because this type of pre-service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children modified the original song in relation to play theme and continued play through singing. In conclusio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singing sung by children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expression of active pleasure and means of learning. Based in this study's results, it would be developed package and teaching method applying song.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양성과정에서 노래 부르기를 활용한 교육적 맥락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Q-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44명의 광주․전남지역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29개 문항으로 구성된 Q-set을 분류하게 하고,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유형별로 나누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제 1유형은 노래 속에 유아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으며, 자발적인 활동으로서 노래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어, ‘유아들의 이야기가 담긴 본능적인 언어로서의 노래’로 명명하였다. 제 2유형은 새 노래 배우기의 교육적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인식하여, ‘새 노래 배우기로서의 노래’로 명명하였다. 제 3유형은 노래의 의미를 효과적인 활동의 보조수단 및 주의집중의 도구로 인식하고 있어, ‘활동보조 및 주의집중 수단으로서의 노래’로 명명하였다. 제 4유형은 놀이의 맥락 속에서 놀이의 주제와 관련하여 노래를 변형하거나 노래를 통해 놀이가 지속됨을 인식하여 ‘놀이 맥락 속의 놀이 주제와 관련된 노래’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를 ‘교육적 수단’과 ‘즐거움의 자발적 표현’으로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즐거움의 자연스러운 표현과 놀이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노래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법 및 자료집의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자료의 처리 및 분석
 Ⅲ. 연구방법
  1. 요인분석 결과
  2. 요인별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은 Lee, Seung-Eun. 동신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