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농암 이현보의 국문시가와 우리말로 노래하기의 전통

원문정보

A Study on the Yi Hyeon-bo' poems and the Tradition of Korean Song

김유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sidered Kukmunsiga (poetry and song written in Korean language) by Nong-am Lee Hyun-bo and the trend of Korean songs. was written based on situation on boat as wellas verses from . is a song about the feeling of getting consoled from everlasting nature to get over a sense of distance that being back home after a long time felt as if he were in a foreign place. Most of Sijo in the 15th-16th century from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repetition along with antithesis and parallelism. Repetition might be an effective expressive style for accentuation, but be bland. Unlike contemporary poets, Nongam mainly adopted antithesis instead of repetition. Through writings by Hwang Lee and Saebung Ju, this study examined Nongam’s creation of Kukmunsigaand its enjoyment in many ways. Hwang Lee put a value on adapted by Nongam in that it was appropriate for being sung and passed down. Also, Saebung Ju’s writings included a list of Chinese character poetry already collected to be sung before Nongam knew about . adapted by Nongam was widely accepted. Twaegye, following Nongam,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ongs written by Korean language because Chinese poetry could not be sung. This awareness was passed down to the future generations.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농암 이현보의 국문시가 창작 및 향유 특징과 우리말로 노래하기의 전통과 흐름을 고찰하 였다. 먼저 농암 국문시가의 표현미적 특질을 고찰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에서는 강호가도라는 면을 중심 으로 내용적 측면을 다루었을 뿐, 작품 분석이 세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효빈가>에서는 <귀거래사>의 구절을 인용할 뿐 아니라 <귀거래사>의 뱃길 여정까지 활용하였다는 의 미가 있다. <농암가>는 오랜 동안 떠나있던 고향에 돌아간 뒤 느끼는 이질감을 극복하고자 예전과 변함 없는 자연에서 위안을 찾는 심정을 나타냈다. <생일가>에는 분수론을 내세워 자신의 공명과 장수와 부귀 에 대한 자족감을 드러냈으며 그것을 ‘역군은’이라는 관습적 표현을 통해 임금에 대한 감사로 변환하였다 . 농암은 서로 개별적으로 전승되던 <어부장가>와 <어부단가>를 연결하여 한 부의 노래로 불렀다. <어 부단가>에서는 표현과 구성의 면에서 대조법과 대구법을 두드러지게 활용하였다. 문집에 전하는 15-6세기 시조들의 대부분은 대조와 대구와 함께 특히 반복적 표현이 두드러진다. 수사법 에서 반복은 강조의 효과를 갖기도 하지만 자칫 단조로운 느낌을 줄 수도 있다. 그런데 농암의 작품들에 는 동시기의 작품들과 비교할 때 이러한 반복 표현 또는 반복 구성이 거의 없고 대신 대구법만이 적극적 으로 활용된다. 농암과 교유한 이황과 주세붕의 기록을 통해, 농암의 국문시가 창작과 향유의 실상을 다각도로 살폈다. 이황은 농암의 <어부가> 개작에서 노래하기에 적절한가, 전승하기에 적절한가 하는 점을 중시하였다. 또 주세붕의 기록을 통해, 농암이 <어부가>를 접하기 이전에 노래로 부르기 위해 모았던 한시문의 목록을 밝혔다. 농암 이전 시기부터 이루어져온 전래 <어부가>의 향유 방식과 의식을 고찰하였다. 사대부 문인 들이 스스로의 노래 또는 기생의 노래로 향유하였으며, 관직에 있으면서도 강호를 지향하는 지취를 드러 냈다. 농암 이후 여러 차례 <어부가>가 만들어졌으나, 농암의 <어부장가>는 계속 호응을 받았다. 12가사 의 하나인 <어부사>는 농암의 <어부장가> 가운데 6장만이 생략된 8장 형태로 정착되었으며 1863년에 방각본 󰡔남훈태평가󰡕에도 농암의 <어부장가>와 같은 형태의 <어부사>가 수용되었다. 농암의 이러한 국문시가 향유를 이어받은 퇴계는 한시는 노래로 부를 수 없기에 노래로 부르기 위해서는 국문시가가 필요하다고 선언한다. 이러한 의식은 심수경, 이수광, 신흠, 홍만종 등 후대인들에게도 계승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농암의 국문시가 창작과 형식미
 3. 15-6세기 문집 소재 국문시가
 4. 우리말로 노래하기의 전통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유경 Kim, Yoo-gyung.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