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on the commercial publicat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conducted mostly by scholars of classical vernacular fiction. As a result, prior works on the publishing industry have dealt predominantly with printed books of vernacular fiction that were lent out to readers for a fee. Such printed loan-out books, however, provide no information on their authors or their publishers so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 original writers or the companies that produced them. But in the case of boo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published in much greater numbers than vernacular works, a marginal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authors and publishers is available. By elucidating the publication process of Chinese-character writings, we can surmise that of vernacular works as well. This article examines various nineteenth-century maps in the context of the publishing industry of the period, demonstrating that such maps were published commercially in printed sheets. I further show that Kim Jeongho’s works Daedongyeojido and Chunggudo were both produced for profit (Kim worked in the publishing industry as an editor of both printed and hand-written books). While scholars of maps have already pointed out that nineteenth-century maps were produced for a commercial purpose, none have examined them in the general context of late Joseon dynasty publishing industry. Since research on the period’s commercial publications have not dealt with the issue of maps, an exploration of the topic will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industry.
한국어
조선후기 상업출판물에 관한 연구는 주로 고소설 연구자들이 해왔기 때문에 기존의 상업출판 연구는 세책과 방각본 한글소설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한글 방각본과 세책에는 작자나 출판업자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기 때문에 고소설의 작자가 누구인지, 또 누가 고소설을 출판했는지 알 수 없다. 그런데 한글 방각본보다 훨씬 많은 양이 간행된 한문 방각본에는 저자나 출판업자에 대한 약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한문 방각본을 통해서 한글 방각본의 간행에 대한 추정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19세기에 나온 여러 가지 지도를 상업출판물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낱장 지도가 방각본으로 간행된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와 <청구도>가 영리를 목적으로 한 상품이라는 점과 김정호의 직업이 출판업(방각본과 필사본 지도 제작)이라는 점도 아울러 얘기했다. 19세기 지도가 상업출판물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지도 연구자들도 이미 지적한 바 있으나, 조선후기 상업출판의 전체적인 구도 속에서 이 문제를 다루지는 않았다. 조선후기 상업출판물에 이제까지 이 분야 연구에서 전혀 논의되지 않았던 지도가 들어감으로서 앞으로 이 시기 상업출판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언
2. 낱장 고지도 : 「수선전도」, 「해좌전도」, 「대동여지전도」
2.1. 「수선전도」
2.2. 해좌전도
2.3. 「대동여지전도」
3. 김정호의 지도
3.1. 김정호
3.2. 대동여지도
3.3. 청구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