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창덕궁 대조전 적의본의 채색안료 성분분석

원문정보

Composition Analysis of Painted Pigments for the Jeoguibon (Patterns of the Queen's Ceremonial Robe) in Changdeok Palace

김수경, 허준수, 이한형, 서민석, 한민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maged the Jeoguibon (patterns of the Queen's ceremonial robe) was found during repair work of Daejojeon, Changdeok Palace in 2011. Analytical study on seven colors painted in the patterns has been conducted by P-XRF and Micro-XRD analysis. The result displays that red lead, ultramarine blue, conichalcite or mixed pigment of emerald green and barium white, orpiment and white lead had been used on the patterns. Comparison of the pigments used for the Pyeseulbon (patterns of the Queen's belt ornament covering knees in the front) housed in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revealed that not only red lead but also cinnabar and organic pigment had been used in the Jeoguibon and the Pyeseulbon housed in National Museum of Korea. In addition the same pigments has been examined in green and yellow parts of both the Jeoguibon in Daejojeon and the Pyeseulbon housed in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result has shown that western's synthetic green pigment such as emerald green was introduced and used in 1920's. The scientific result from this study expects to be used as useful referencing data for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on pigments used in palace during the 20th century.

한국어

2011년 창덕궁의 대조전에서 내부 수리 공사 도중 훼손된 적의본이 발견되었다. 적의본에 채색되어 있는 7가지 채색 안료에 대해 P-XRF와 Micro-XRD를 이용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단과 군청, 코니칼사이트 또는 화록청, 바륨화이트의 혼합 안료, 석황, 연백 등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중앙박물관 소장 적의본과 폐슬본과의 성분 안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중앙박물관 소장 적의본과 폐슬본은 창덕궁 대조전에서 검출된 연단 이외에도 적색에서 진사나 유기안료가 사용되었으며, 녹색과 황색 등에서는 창덕궁 대조전 적의본과 같은 안료 성분이 검출되었다. 또한 1920년대에 녹색 안료로 화록청과 같은 서양의 합성안료가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20C에 궁궐에서 사용된 안료의 성분에 대한 과학적 연구결과로 향후 동시대 회화안료의 비교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2.1. 연구대상
  2.2.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광학 현미경 관찰
  3.2. P-XRF와 Micro-XRD 측정
 4. 고찰
  4.1. XRD를 통한 광물의 비파괴 분석
  4.2. 중앙박물관 소장 적의본, 폐슬본과의 성분 비교
 5.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수경 Su Kyoung Kim.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허준수 Jun Su Heo.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한형 Han Hyoung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서민석 Min Seok Seo.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민수 Min Su Han.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