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교회 팀사역의 효과성과 만족도 연구 - 장로교 고신교단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f teamwork effectivenes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Kosin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조철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resent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teamwork effectiveness among Korean church volunteers. Studying church volunteers’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teamwork effectiveness is critical because most church ministries are maintained by church volunteers, and teamwork is one of the effective work systems in some church contexts. The Volunteer Satisfaction Index, developed by Galindo-Kuhn andGuzley (2001), and the Team Excellence instrument developed by Larson and LaFasto (1989) were used for this study. Additional demographic and an open-ended question were added to the instrument.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youth ministry teachers and welcome ministry teams of eleven churche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Kosin) in Korea. Of the 526 surveys that were distributed, 382 were returned (71.1% of response rate). The total number of usable surveys was 368, representing a 69.9% response rate. Descriptive, correlational, and causal-comparativ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data for this study.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youth ministry teachers and and welcome ministry volunte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ministry participation. Group Integration (M=5.57) was the highest, followed by Work Assignment (M=5.26), Communication Quality (M=5.06), Participation Efficacy (M=5.02), and Support (M=4.96). In regard to perceptions of teamwork effectiveness, a Clear and Elevating Goal was the highest (M=3.38), followed by Principled Leadership (M=3.31), Collaborative Climate (M=3.26), Competent Team Members (M=3.22), Unified Commitment (M=3.17), External Support and Recognition (M=3.03), Result-Driven Structure (M=2.96), and Standard of Excellence (M=2.89).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teamwork among youth teachers and welcome ministry volunteers. Generally, the older volunte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ministry participation than the younger volunteers. In regard to perceptions of teamwork effectiveness, males showed higher scores than females. Additionally, Korean church volunteers were satisfied when they perceived that they could better serve God through ministry participation. They were also satisfied when they perceived that they were spiritually growing through ministry participation. Moreover, they perceived that their ministry teams were effective when they had various spiritual activities. In regard to the open-ended question that asked spiritual factors for ministry team effectivenes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indicated that prayer(individual, together, and intercessory) was the highest spiritual factor, followed by fellowship, the Word of God, communication, trust, training, concern for each other, love, and cooperation.

한국어

무엇이 평신도 사역자들의 교회 사역팀 참여를 만족스럽게 만들고, 또 사역팀을 효 과적으로 만드는가? 그리고, 만족스러운 사역참여와 효과적인 사역은 어떤 상관관 계가 있는가? 본 논문은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연구되었다. 교회 평신도 들의 사역 만족도와 팀사역의 효과성에 대해 밝혀 내는 일은 의미가 깊다. 왜냐하 면, 대부분의교회사역들이교회평신도들에의해유지되며, 또한팀사역도교회안 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역체계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위해 Galindo-Kuhn과 Guzley (2001)가 개발한“The Volunteer Satisfaction Index” 와 Larson과 LaFasto (1989)가 개발한“The Team Excellence Instrument”의설 문지가 사용되었다. 이 설문지들에 더하여 인구통계(demographic)적인 질문들과 개방형 질문들(open-ended questions)이 추가되었다. 설문지는 한국의 고신교단 에 소속된 교회의 청소년 사역팀의 교사들과 새가족 사역팀들에게 배포되었다. 총 526개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382개를 회수하였다(71.1%의 응답율). 연구에 사 용 가능한 설문지는 368개(69.9%의 응답율)였다. 서술(descriptive)적, 상관관계적(correlational), 그리고 원인-비교(causal-comparative)의 통계적 방법들이 본 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사역만족도(7점만점 기준)에 대하여, 고신교단 교 회의 평신도 청소년 사역팀의 교사들과 새가족 사역팀의 평신도들은 대체적으로 그 들의 사역참여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그룹 내의 관계성(M=5.57)은 가장 높은 값 을 보였고, 사역의 적합성(M=5.26), 의사소통의 질(M=5.06), 사역참여의 가치 (M=5.02), 그리고 교회의 지원 (M=4.96) 순이었다. 효과적인 팀사역의 인식(4점 만점 기준)에 대하여, 평신도 사역자들은 분명하고 도전적인 목표(M=3.38)가 제일 높았고, 그 다음으로 모범적인 리더십(M=3.31), 협력적인 분위기(M=3.26), 유능 한 팀 구성원들(M=3.22), 연합된 헌신(M=3.17), 외부의 지원과 인정(M=3.03), 결 과 지향적인 구조(M=2.96), 그리고 탁월함의 기준들(M=2.89) 순이었다. 청소년 사역팀 교사들과 평신도 새가족 사역팀의 사역만족도와 팀사역의 효과성 인식 사이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은 평신도 사역자들이 젊은 평신도 사역자들보다 더 높은 사역만족도를 보였다. 한국교회 평 신도 사역자들은 그들의 사역참여를 통해 하나님을더잘섬길수있다고생각할때 높은만족도를보였다. 또한, 영적으로성장하고있다고느낄때에도사역참여에만 족하고 있었다. 효과적인 팀사역과 관련하여, 평신도 사역자들은 다양한 영적 활동 들이 팀사역에 사용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팀사역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영 적인 요소를 묻는 개방형 질문과 관련하여 평신도들은 기도(개인, 합심, 중보)를 가 장 중요한 영적 요소로 꼽았다. 그 다음으로 교제, 하나님의 말씀, 의사소통, 신뢰, 훈련, 서로를 향한관심, 사랑, 그리고 협력순이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모집단(population)과표본(sample)
  2. 도구(Instruments)
 Ⅲ. 연구결과
  1. 인구통계적특성(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교회 평신도들의 사역만족도 (Church volunteers’job satisfaction)
  3. 교회 평신도들의 팀사역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Teamwork Effectiveness)
  4. 사역만족도(Job Satisfaction)와 효과적인 팀사역 (Teamwork Effectiveness)에대한인식의상관관계
 Ⅳ. 결과토론(discussion)
  1. 연구질문- 1 : 사역만족도요소들(Job Satisfaction Factors)
  2. 연구질문- 2 : 교회평신도들의효과적인팀사역의요소들
  3. 연구질문- 3 : 사역만족도와팀사역효과성의상관관계결과
 Ⅴ. 함의점(Implications)
  1. 사역만족도와 팀사역의긴밀한연관성에대한함의
  2. 교회의 팀사역의 평신도 사역만족도의 개선을 위한 함의점들(implications)
  3. 교회팀사역의효과성을향상을위한함의(implication)
 Ⅵ. 추가적 연구를 위한 조언과 연구의 한계(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철현 Cho, Cheol-Hyun. 고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